경향신문

양소영 민주당 대학생위원장 “김남국·돈봉투 비난하면 ‘비명’인가…악의적인 프레임 벗어나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양소영 민주당 대학생위원장 “김남국·돈봉투 비난하면 ‘비명’인가…악의적인 프레임 벗어나야”

이재명 대표 면담 거절당해
위로·격려 메시지 줬으면
안팎으로 덜 힘들었을 것
코인 사태 비판, 후회 안 해

양소영 민주당 대학생위원장 “김남국·돈봉투 비난하면 ‘비명’인가…악의적인 프레임 벗어나야”

양소영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장은 1일 경향신문과 통화하면서 “김남국 의원이나 돈봉투 의혹을 비판했다고 비이재명(비명)계인가. 그런 악의적인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지난달 12일 대학생위원회 명의로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김 의원의 가상자산 투자 논란 등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한 뒤로 일부 강성 당원들의 공격을 받았다. 다음은 일문일답.

- 현재 심경은.

“지지층으로부터 생각보다 많은 비판을 받아 당혹스러웠지만 해야 할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시·도당 대학생위원장들은 본인 신상이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버들에게 노출되고 있다. 지역위원회에서 항의 전화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어린 친구들이 겪기에는 너무 가혹하다.”

- 기자회견을 하게 된 경위는.

“한 대학생이 ‘교수가 수업시간에 공부 안 가르치고 코인 투자를 계속한다면 어떨 것 같나’라고 이야기하더라. 망치로 맞은 느낌이었다. 단순히 법적 잣대로 바라보는 문제가 아니라는 걸 확인했다. 여론조사도 2030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꺾이고 있었다. 대학생위원회 내부적으로는 ‘김남국 (국회의원직) 사퇴’까지도 이야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 기자회견 이후 많은 공격을 받았다.

“김 의원을 타기팅해 비판한 게 아니다. 돈봉투 사건부터 김남국 코인 사태까지 청년 세대들에 큰 실망감을 안겨준 것에 대해 민주당은 반성·쇄신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당내 가장 젊은 세대를 대변하는 조직이 이 정도 메시지는 충분히 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

- 명의 도용 의혹 등 위원회 내부 의견 수렴 절차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틀 전 당 윤리감찰단에 자진 출석해서 자료도 내고 소명했다. 당에서 ‘명의 도용은 사실 무근’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한다. 내부 소통 부족은 책임을 통감한다.”

- 이재명 대표가 어떻게 했어야 하나.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 대표에게 면담 요청을 했는데 실무 라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저희한테 ‘당을 위해 헌신해줘 고맙다, 어려운 결정을 해준 것으로 안다’는 메시지만 해주셨어도 당은 쇄신의 길로 나아갈 수 있었다.”

- 기자회견 논란이 계파 갈등으로까지 번졌다.

“계파 갈등의 중심에서 소모적으로 이용당한다는 생각은 든다. 상식적인 이야기를 한 건데 비명계 프레임을 씌운다. 김남국 의원이나 돈봉투를 비판했다고 해서 비명계인가? 제가 비명계 의원님들만 찾아가서 도와달라고 했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 코인 사태 비판 기자회견을 한 것을 후회하나.

“전혀 후회하지 않는다. 지난 2주 동안 ‘최초의 여성 대학생위원장이면 가만히 있어도 베네핏(이득)이 돌아올 수 있는데 굳이 왜 지지층이랑 결별하고 당에 쓴소리 내는 데 일조하냐’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총선에서) 다시 한번 국민들께 기회를 얻기 위해선 더 처절하게 국민 눈높이를 맞출 혁신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