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사회적 대화’ 중단한 한국노총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 끝장보겠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사회적 대화’ 중단한 한국노총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 끝장보겠다”

한국노총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 전면 중단 및 윤석열 정부 심판’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한국노총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 전면 중단 및 윤석열 정부 심판’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한국노총이 지난 7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 중단을 결정한 데 이어 8일 윤석열 정부 심판 투쟁을 선언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이 순간부터 한국노총은 윤석열 정권의 폭압에 맞선 전면 투쟁을 선포한다. 경사노위 참여 전면 중단은 그 시작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지난 7일 중앙집행위원회(중집)를 열고 사회적 대화 전면 중단을 결정했다. 한국노총의 경사노위 불참 선언은 7년 5개월 만으로, 경찰이 지난달 31일 고공농성 중이던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을 과잉 진압한 것이 결정적 계기가 됐다.

한국노총은 “쉽게 사회적 대화 중단을 거론하지 않았다”며 “정치든 운동이든 진영논리에 휩싸여 선명성 경쟁을 우선시할 때, 한국노총은 비록 덜 선명하고 덜 투쟁적으로 보이더라도 질기게 버텼다. 그것이 결국엔 우리 사회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이는 길이라 굳게 믿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이제 그 인내심은 한계에 다다랐다. 윤석열 정부는 사회적 대화에 대한 개념도 의지도 없음을 분명히 보여줬다”며 “상대를 대화의 주체로 인정하지 않고 적당히 구슬리거나, 그도 아니면 두들겨 패서 정부의 뜻을 관철시키고 그것을 법과 원칙의 승리로 자평하는 정권”이라고 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노동계를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배제하는 정부를 향해 대화를 구걸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 중집에서는 경사노위 탈퇴의 시기와 방법에 대한 집행권이 저에게 전권위임됐다”고 설명했다. 중집이 경사노위 탈퇴를 결의했고, 탈퇴 시기와 방법이 집행부에 위임됐다는 취지다.

김동명 위원장은 “이제 한국노총의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은 끈질기고 집요하게 전개될 것”이라며 “반드시 끝장을 보겠다”고 말했다.

김동명 위원장은 기자회견 뒤 ‘사회적 대화에 복귀하기 위한 조건’을 묻는 말에 “단순히 사과하고 (김준영 사무처장을) 석방하고 이런 것을 복귀 조건으로 삼지 않겠다”며 “근본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노동자를 대화 파트너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라고 답했다. 일각에서 나오는 김문수 경사노위 위원장 교체설에 관해선 “김 위원장 교체는 대화 재개에 어떤 영향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