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중증외상 환자 4명 중 1명만 ‘골든타임’ 내 응급실 도착

김향미 기자

0~9세 아동 중증외상환자 4명 중 1명만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 내에 응급실에 도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중증외상환자의 손상 후 내원 소요시간 현황’에 따르면 2021년 권역외상센터 응급실로 들어온 0∼9세 중증외상환자 122명 중 손상 발생 후 1시간 안에 내원한 비율은 24.6%(30명)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도 30분 안에 내원한 환자는 9명(7.4%)에 불과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증외상은 운수사고나 추락과 같은 외상적 요인에 의해 신체에 발생한 손상 중에서, 의식상태나 혈압·호흡 등이 비정상적일 정도로 심각하게 다친 경우를 뜻한다. 통상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골든타임(적정시간)은 발생 후 1시간 이내로 본다.

2021년 중증외상환자의 손상 후 내원 소요시간 현황(연령별). 단위 :명, 자료 : 응급의료통계포털

2021년 중증외상환자의 손상 후 내원 소요시간 현황(연령별). 단위 :명, 자료 : 응급의료통계포털

0∼9세 중증외상환자의 골든타임 내 내원 비율은 2018년 31.3%, 2019년 35.5%, 2020년 32.5% 등 앞선 몇년간 30%대를 유지했으나 2021년엔 20%대로 낮아졌다.

2021년 기준 전체 연령대 중증외상환자 중 1시간 안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비율 34.6%(8852명 중 3094명)보다도 적다.

전문가들은 소아 중증외상 환자의 응급실 내원 골든타임을 지키기 어려워진 것은 소아응급의학과·소아외과 등 관련 세부전문의들이 줄고 이에 따라 의료기관의 치료 역량이 떨어진 영향일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중증 소아 환자를 살리기 위해선 상급종합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에 경증·중증 환자가 모두 쏠리는 ‘과밀화’를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