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청주 ‘골칫덩이’가 청년·문화 공간으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청주 ‘골칫덩이’가 청년·문화 공간으로

방치된 랜드마크 ‘명암타워’

상권 무너진 ‘대현지하상가’

시, 청년특화지역 조성 계획

청주 ‘골칫덩이’가 청년·문화 공간으로

도심 속 골칫덩이로 전락했던 시설물이 청년·문화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충북 청주시는 청주 명암관망탑(명암타워·사진)과 대현프리몰 청주점(지하상가)을 청년·문화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명암타워는 높이 62.1m, 연면적 7625㎡, 지하 2층~지상 13층 규모로 명암저수지 바로 옆에 2003년 지어졌다. 민간사업자가 시유지에 건물을 지은 뒤 20년 동안 사용하고 기부채납하는 조건이었다. 민간사업자는 이곳에 수차례 화상경마장을 유치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2016년 이후 영업난을 이유로 시설을 방치해왔다.

청주시는 최근 민간사업자로부터 명암타워 소유권을 넘겨받았다. 지난 1월에는 충북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하는 등 건물 활용을 놓고 고심해왔다. 독특한 구조가 문제였다. 지하 1~2층은 5000㎡ 규모로 넓지만 지상 1층부터 13층까지는 기하학적인 구조라 활용이 힘들다. 계단도 한 사람이 겨우 오갈 수 있는 나선 형태다.

충북연구원은 이에 국내외 사례 조사, 시민 100인위원회 자문, 명암관망탑 활성화 태스크포스(TF)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최종보고서를 완성했다. 최종보고서는 명암타워 구조를 활용해 2~13층은 청주비엔날레 등과 연계할 수 있는 기획전시실로 이용한다는 대안을 내놨다.

광장이 있는 1층은 휴게공간, 하늘정원 등을 조성한다. 지하 1~2층은 과학문화전시실과 가상현실(VR) 직업체험실, 특화 뮤지엄, 로컬 맥주 체험관과 외식창업 등 청년 식음료(F&B) 창업공간으로 꾸민다. 부족한 주차장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명암저수지 북측 유휴공간을 활용한다. 청주시는 실시설계 용역 등을 거쳐 내년부터 명암타워 새 단장에 나선다.

청주시는 지하상가에도 청년특화지역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하상가는 250여m 길이, 13.2㎡ 크기 점포 124개가 몰려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상인들이 떠나면서 현재 텅 빈 상태다. 최근 ‘대현지하상가 청년특화지역 조성’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는 청년과 청소년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