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여당의 사드 환경평가 감사 요구, ‘서해 피살’ 재판 꾀하는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여당의 사드 환경평가 감사 요구, ‘서해 피살’ 재판 꾀하는가

입력 2023.06.26 20:42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경북 성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와 관련해 26일 “문재인 정부에서 환경영향평가가 뭉개진 의문에 대해 철저한 감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정부 당시) 권력자가 평가 결과를 못 내도록 압력을 넣었을 개연성이 농후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감사원에 ‘하명 감사’를 지시한 셈인데, ‘기획 사정’ 비판을 부른 ‘서해공무원 피살 사건’감사가 되풀이되는 것 아닌지 우려가 크다.

문재인 정부가 사드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추진했으나 지역·환경단체 등의 반발에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지난 21일 발표한 윤석열 정부의 환경영향평가야말로 문제투성이다. 상시측정소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계절(2022년 11월~2023년 1월)에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한계가 있는 데다 레이더의 일반적인 탐색·감시 모드에서 측정됐는지, 강력한 전자파를 내는 추적·교정 모드에서 측정됐는지도 밝히지 않았다. 김천 노곡리 일대 주민 100여명 중 지난 5~6년 사이에 10여명의 암환자가 발생했지만 역학조사도 없었고, 협의에 참여한 ‘주민대표’도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내놓은 ‘전자파가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결론이 얼마나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까.

사드배치를 둘러싼 이런 의혹과 문제점을 차분하게 설명하기는커녕 정치보복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것이 여당의 온당한 태도인지 의문이다. 김 대표는 게다가 “사드 3불이니 뭐니 하며 군사주권을 포기했던 자들”이라며 ‘반중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사드 전자파 괴담’ 유포 세력으로 지목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으로 궁지에 몰린 상황을 물타기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지우기 어렵다.

이번에도 정부·여당의 기획, 감사원 감사, 검찰 수사로 이어지는 정치보복 수순이 되풀이되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7월 서해공무원 피살 사건에 대해 사실관계도 맞지 않는 표적감사로 감사원의 독립성·중립성을 훼손한 바 있다. 감사원은 최근에도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에 대한 찍어내기성 패싱 감사 등으로 비판을 한 몸에 받고 있는 터다.

김 대표는 감사원을 ‘정권의 돌격대’로 삼으려는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 감사원의 훼손된 독립성·중립성을 바로잡고, 감사원 내부 기강 확립을 지원하는 것이 집권여당 대표가 할 일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