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단독]이동관 홍보수석실, 국정원에 정부 비판 인사 ‘여론 조작’ 지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단독]이동관 홍보수석실, 국정원에 정부 비판 인사 ‘여론 조작’ 지시

2010년 4월22일 국정원이 청와대 홍보수석실 지시를 받고 작성한 <명진의 부도덕성·좌편향성 폭로 확산 심리전 전개> 문건

2010년 4월22일 국정원이 청와대 홍보수석실 지시를 받고 작성한 <명진의 부도덕성·좌편향성 폭로 확산 심리전 전개> 문건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유력시되는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홍보수석으로 재직할 때 홍보수석실이 정부에 비판적인 종교 인사를 퇴출시키려고 국정원에 ‘사이버 여론전’을 지시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4대강 사업 등 MB 정부의 주요정책을 비판한 명진스님을 불교계에서 몰아내려 여론 조작을 주도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것이다.

경향신문이 29일 입수한 2017~2018년 ‘국정원 불법사찰’ 관련 공판기록·증거기록·진술조서 등을 종합하면, 청와대 홍보수석실은 2010년 4월19일 “봉은사 주지 명진의 과거 룸살롱 출입, 아이파크 건설 관련 합의금 횡령 및 좌파활동 경력 등을 인터넷상에 적극 확산”하라고 국정원에 지시했다.

앞서 청와대 민정수석실과 기획관리비서관실은 2010년 1월5일과 3월23일 각각 “봉은사 명진 주지 최근동향 및 사생활, 특이행적” “봉은사 신도수·설립 연도, 주지 성향 등 특이 사항, 신도 내 친정부 인사 등 현황” 등의 정보를 파악하라고 국정원에 지시했다. 이어 홍보수석실이 명진스님에 대한 사찰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 여론전’을 펼치라고 국정원에 지시한 것이다.

홍보수석실의 지시는 국정원의 신속한 실행으로 이어졌다. 국정원 심리전단이 2010년 4월22일 작성한 <명진의 부도덕성·좌편향성 폭로 확산 심리전 전개> 문건에는 “심리전 부서는 봉은사 외압파동을 야기한 명진 및 김영국의 부도덕성·이중성·좌편향성을 폭로·확산 → 불교계 퇴출·매장여론 조성에 총력 경주 중”이라고 적혀 있다.

2017~2018년 ‘국정원 불법사찰’ 수사 당시 검찰이 확보한 명진스님 관련 청와대의 주요 지시 문건

2017~2018년 ‘국정원 불법사찰’ 수사 당시 검찰이 확보한 명진스님 관련 청와대의 주요 지시 문건

이 문건 중 ‘사이버 심리전 전개 내용’ 항목에는 “아고라 등에 명진의 부도덕성 등 철면피 행각 규탄 토론글 집중 게재(2700여건)” “브레이크 뉴스 등에 ‘탐욕이 눈에 어두워 허위선동 일삼는 명진 불교계 퇴출 촉구’ 칼럼 게재” “불자의 탈을 쓴 명진·김영국의 이중성·후안무치 실체 고발 ‘e-콘텐츠’ 확산” “조계종 홈피에 ‘불교계 분파·갈등 조장 명진 승적 박탈’ 필요성 제기” 등 세부 실행 내용이 담겼다. 문건에서 국정원은 당시 온라인 상 여론 동향을 두고 “좌파 대 건전보수 2:8로 명진 비판론이 압도적”이라고 적었다.

청와대 홍보수석실과 국정원이 해당 지시·보고를 극비리에 주고받은 정황도 포착됐다. 국정원이 작성해 보고한 문건 오른쪽 상단에는 ‘보고 후 즉시파기’라고 돼 있다. 국정원 심리전단은 대북 심리전을 벌이는 곳이다. 당시 국정원에서 근무한 A씨는 검찰 조사에서 “명진스님이 종북활동을 했는가”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명진스님에 대한 사찰 및 여론전을 진행한 국정원 직원 일부는 유죄가 확정됐다. 대법원은 2021년 3월 국정원 전 간부 김모씨에게 징역 7년, 자격정지 7개월을 확정했다. 이 특보 등에 대한 수사는 없었다.

경향신문은 이 특보 측에 입장을 요청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2017~2018년 ‘국정원 불법사찰’ 수사기록에 첨부된 국정원의 명진스님 관련 여론전 실행 내용

2017~2018년 ‘국정원 불법사찰’ 수사기록에 첨부된 국정원의 명진스님 관련 여론전 실행 내용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