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독립유공자, 친일은 되고 좌익활동은 안 된다는 건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독립유공자, 친일은 되고 좌익활동은 안 된다는 건가

입력 2023.07.03 20:40

국가보훈부가 지난 2일 “가짜 독립유공자”를 가려내고, “북한 정권 기여 등 친북 제외 기준”을 명확히 하며, “그 외 공과가 있는 독립운동가”를 재평가하겠다고 밝혔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 말을 보면 의도가 분명해진다. 그는 3일 “항일운동 했다고 무조건 OK가 아니다.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건설이 아니라, 북한 김일성 정권 만드는 데 또는 공산주의 혁명에 혈안이었거나 기여한 사람을 독립유공자로 받아들일 대한민국 국민이 누가 있겠는가”라고 했다. 좌익 논란 인사를 독립유공자에서 배제하고, 친일 논란 인사는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보훈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언론 보도는 ‘서훈이 취소될 수 있는 인사’도 거명한다. 박헌영의 부인 주세죽, 김일성의 외삼촌 강진석, 손혜원 전 의원의 부친 손용우, 고 김원웅 전 광복회장의 부모인 김근수·전월선 등이다. 서훈이 고려될 수 있는 인사로는 일제 작위를 받았지만 임시정부에 참여한 김가진, 3·1운동에 참여했지만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에 위로금을 낸 조봉암, 친일 행적으로 서훈이 박탈된 장지연·김성수 등이 거론됐다.

허위 유공자를 가려내는 것은 보훈부의 기본 임무다. 기준을 충족 못했거나 공적 정보가 허위로 드러나면 정부는 서훈을 취소할 수 있다. 독립유공자예우법은 국가보안법 위반자, 일제하반민족행위진상규명법상 친일반민족행위자 등을 서훈에서 배제하도록 한다. 장지연·김성수는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돼 각각 2010·2018년 서훈이 박탈됐다. 만약 김원웅 부모나 손혜원 부친에게 결격 사유가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면 서훈을 취소해야 한다.

다만 그 검토가 정권의 이념 잣대에 따라 임의로 이뤄져선 안 된다. 독립유공자예우법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부터 1945년 8월14일까지” 일제에 항거한 적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좌·우익을 가리지 않는다. 애초 우익에 집중됐던 서훈은 한국이 체제에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점차 좌익으로 확대됐다. 임원근·김단야·주세죽(각 1993·2005·2007년 추서)이 그 예다. 1948년 정부 수립을 전후한 좌익 활동에 대해서는 토론이 더 필요하다. 분단이 확실해진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인사의 북한 정권과의 관계를 따져 결정하는 게 옳다. 무엇보다 법률명이 ‘건국’유공자가 아니라 ‘독립’유공자인 이유를 상기해야 한다. 독립은 일제 식민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활동이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