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현충시설에 ‘친일 논란’ 백선엽 동상···시민단체 “가짜 영웅 만들기 멈춰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현충시설에 ‘친일 논란’ 백선엽 동상···시민단체 “가짜 영웅 만들기 멈춰라”

다부동전적기념관서 제막식
김기현 등 비롯 1000명 참석

조선인 독립군 토벌대 복무
진상규명위도 “반민족 행위”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역위원회 한 회원이 5일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동전적기념관 정문 앞에서 백선엽 장군의 탈을 쓰고 행진하고 있다. 김현수 기자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역위원회 한 회원이 5일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동전적기념관 정문 앞에서 백선엽 장군의 탈을 쓰고 행진하고 있다. 김현수 기자

‘친일파가 전쟁영웅이 되는 나라, 아~ 대한민국’.

5일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동전적기념관 앞에 이 같은 문구가 쓰인 대형 펼침막이 등장했다. 한국군 최초 사성장군인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을 앞두고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역위원회가 준비한 펼침막이었다. 이들은 ‘백선엽, 참군인 청빈한 삶? 강남역에 수천억대 건물’ 등 손팻말을 들고 “친일매국 백선엽, 가짜 영웅 만들기 멈추라”고 외쳤다.

국가보훈부와 육군본부 주관으로 이날 열린 백 장군 동상 제막식에는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해 박민식 보훈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민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다부동전적기념관은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최후 방어선에서 벌어진 ‘다부동 전투’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국방부가 1981년 지은 현충시설이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백선엽은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선정한 ‘친일반민족행위자 705인’ 중 하나인 국가 공인 친일파”라며 “백선엽(동상)이 어떻게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에 세워질 수 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 장군은 다부동 전투 당시 국군 제1사단을 지휘해 한국전쟁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인 독립군 토벌대로 악명 높은 간도특설대에서 2년가량 복무한 사실을 근거로 친일 논란이 제기돼왔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도 백 장군이 1941~1945년 만주국군 장교로 침략전쟁에 협력한 점과 간도특설대 장교로 일제 침략전쟁에 참여한 점 등을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했다.

경북 칠곡 다부동 전적 기념관에서 5일 열린 백선엽 장군의 동상 제막식에서 박민식 보훈부 장관, 백선엽 장군의 장녀 백남희 여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종섭 국방부 장관,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 등 내빈들이 제막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칠곡 다부동 전적 기념관에서 5일 열린 백선엽 장군의 동상 제막식에서 박민식 보훈부 장관, 백선엽 장군의 장녀 백남희 여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종섭 국방부 장관,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 등 내빈들이 제막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찬문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역위원장은 “백선엽이 전쟁영웅이라는 건 허구와 과장이다. 낙동강 전선에서 8개 사단이 싸웠는데 어떻게 혼자만의 공으로 돌리나. 군부 집권 과정에서 미화한 결과”라고 말했다.

다부동전적기념관 앞에는 이달 중 이승만 전 대통령과 해리 S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 동상도 들어선다. 두 동상은 민간단체인 ‘이승만·트루먼 동상건립추진 모임’이 지난달 16일 경기 파주에서 다부동전적기념관으로 옮겨 왔다. 2017년 제작됐지만 갈 곳을 찾지 못하다가 경북도가 다부동전적기념관으로 옮겨 오는 것을 허가해줬기 때문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