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 견학하던 주한미군, 군사분계선 넘어 월북

유새슬 기자

유엔사 “북한이 신병 확보…해결 위해 북한군과 협조 중”

미국이 자국민 송환 요구 땐 북·미 협상 진행될 가능성도

주한미군이 공동경비구역(JSA)을 견학하다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월북하는 일이 발생했다.

유엔군사령부는 1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미국인 한 명이 무단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월북했다”며 “북한이 현재 이 인원의 신병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사는 “사건 해결을 위해 북한군과 협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유엔사는 월북한 미국인의 성별이나 나이 등 구체적인 신원 정보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유엔사의 통제를 받는 JSA 경비대대는 상황 발생 시 한국군이 아닌 유엔사에 보고하도록 돼있다.

경향신문 취재 결과 해당 미국인은 주한미군으로, 이날 다른 관광객들과 함께 JSA를 견학하다 갑자기 MDL을 넘어 월북했다.

이날은 한·미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협의그룹(NCG) 첫 회의를 서울에서 열고 미국 오하이오급 전략핵잠수함(SSBN)이 42년 만에 한국에 들어온 날이기도 하다.

주한미군이 JSA를 통해 월북한 것은 이례적이다.

앞서 1962년 주한미군 제1기갑사단 소속 병사로 근무하다 월북한 제임스 드레스녹 사례 등이 있었다. 드레스녹은 북한 선전영화에 미국인 악역 등으로 출연했으며, 2016년 북한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1년에는 JSA에 근무하는 한미연합사 소속 한국인 병사가 경비근무 중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을 넘어 월북했다. 한국인이 판문점을 통해 월북을 한 것도 1991년 JSA 공동경비대대 한국 대원이 넘어간 이후 발생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는 2017년 11월 하전사인 오청성이 JSA를 통해 최초로 귀순했다.

AP통신은 “많은 북한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한국으로 도망치지만, 미국인이나 한국인의 월북 사례는 드문 편”이라면서 “냉전시기 북한으로 도주한 미군 찰스 젠킨스는 북한 선전영화에 출연하고 일본 여성과 결혼한 뒤 2017년 일본에서 사망했다”고 전했다.

젠킨스는 주한미군에 복무하던 1965년 비무장지대(DMZ) 근무 중 탈영해 북한으로 넘어갔다.

이번 주한미군의 월북이 얼어붙은 북·미관계에 호재가 될지, 악재로 작용할지도 주목된다. 유엔사가 “사건 해결을 위해 북한군과 협조하고 있다”고 밝힌 점으로 볼 때 미국이 월북한 자국민의 송환을 요구하면 북·미 간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과거 북한 억류 미국인 송환 문제로 양측이 협상을 시도한 사례도 있다.

다만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전날 담화에서 한·미의 확장억제 강화에 반발하면서 주한미군 철수로도 비핵화 대화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군사동맹 체제를 과도하게 확장할수록 우리를 저들이 바라는 회담탁으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만들 뿐”이라고 밝혀 북·미 간 대화가 이뤄지기에는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


Today`s HOT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북마케도니아 클럽 화재, 추모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산불이 일어난 후 쑥대밭이 된 미 오클라호마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가자지구에서 이프타르를 준비하는 사람들 최소 6명 사망, 온두라스 로탄에 비행기 추락 사건 220명 사망, 휴전 협상 교착 상태서 공습 당한 가자지구 케냐를 국빈 방문한 네덜란드 국왕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