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잠실·고척·상암 등 서울 시내 7개 경기장에서 1회용품 사라진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잠실·고척·상암 등 서울 시내 7개 경기장에서 1회용품 사라진다

  • 김보미 기자
서울 시내 경기장에서 사용 중인 다회용기 모습. 서울시의회 김지향 의원실 제공

서울 시내 경기장에서 사용 중인 다회용기 모습. 서울시의회 김지향 의원실 제공

잠실·고척야구장과 상암 월드컵경기장 등 서울시가 운영 중인 7개 대형 경기장에서 1회용품 퇴출이 추진된다.

서울시의회 김지향 의원(국민의힘, 영등포4)은 16일 서울시와 서울시의회, 서울을 연고지로 하는 스포츠 구단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달 ‘1회용품 없는 경기장 조성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여 예정인 구단은 야구(LG·두산·키움), 축구(FC서울·서울이랜드FC), 농구(삼성·SK), 배구(우리카드·GS칼텍스) 등 총 9곳이다.

김 의원은 “서울시는 다회용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재정·행정적 지원을 하고, 시의회는 관련 조례와 예산 등을 뒷받침하기 위해 각 구단과 협약 세부 내용을 협의 중”이라며 “다음달 7~8일 ‘자원순환의 날’ 주간에 협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잠실야구장과 잠실실내체육관, 잠실학생체육관, 고척야구장, 상암월드컵경기장, 목동종합경기장, 장충체육관에서는 1회용품 사용을 지양하고 다회용기 전환이 추진될 전망이다.

해당 7개 경기장의 지난해 폐기물 발생량은 2096t으로, 다회용기 사용이 전면 도입되면 폐기물 약 1677t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온실가스 5735t을 감축해 소나무 62만3370그루를 심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지난해 9월 잠실야구장에서 다회용기 이용 시범 사업을 시작한 후 서울시는 최근 직접 관리·지원하는 다른 체육시설에도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시설 운영 구단과 기관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경기장에 입점한 식음료 매장은 1회용기를 다회용 컵·용기로 전환하고, 도소매 매장은 1회용 비닐봉지나 쇼핑백 판매·무상제공을 금지하는 등의 내용이다. 1회용 응원용품 무상제공과 판매·사용은 오는 11월부터 전면 금지돼 적발되면 과태료가 부과 된다.

1회용품을 가장 먼저 시범 퇴출한 잠실야구장의 경우 연간 1436t의 폐기물이 발생해 서울시 전체 스포츠 시설 발생량(2096t)의 약 68.5% 차지한다.

김 의원은 “서울의료원 장례식장은 지난달 다회용기 사용을 전면 도입한 후 폐기물을 80% 줄였다”며 “1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면 자발적 참여가 중요한 만큼 이번에 추진되는 협약을 계기로 스포츠 관람과 동시에 실천할 수 있는 환경 보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