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말 못할 출산·양육 고민 ‘톡’하세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말 못할 출산·양육 고민 ‘톡’하세요

  • 김보미 기자

위기 임산부 보호·지원 전담

서울시 통합지원사업단 출범

익명 원칙, 상담자 부담 낮춰

뜻하지 않은 임신이나 경제적 부담 등으로 출산·양육을 고민하는 임산부를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 통합지원사업단이 출범한다.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영아 문제 등을 예방하려면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을 동시에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사업단은 전화(1551-1099)와 카카오톡(서울시 위기임산부 상담지원)을 통해 20일부터 24시간 상담을 받는다. 경제·심리·신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임신이나 출산 사실을 알리고 싶지 않아 복지정책을 이용하지 않는 이들을 위한 채널이다.

상담은 철저한 비밀 보장을 위해 사업단 소속된 전담자 5명이 익명으로 접수해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위기 임산부의 상황을 파악한 후 공공·민간 서비스 연계가 필요하고, 대상자가 원하는 경우엔 거주지·소득 등을 확인하지만 초기 상담은 신분 노출 없이 이뤄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상정보와 혼인 여부 등 말하기 곤란한 내용은 공유하지 않아도 되고, 제3자 사례를 상담받을 수도 있다”며 “지원 관련 정보를 몰라 출산 등을 포기하거나 소득 등 자격 제한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을 조기에 찾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상담사와 충분하게 대화한 후 숙려기간을 거쳐 출산 후 아이를 키우기로 한 경우 중위소득 100% 이하의 미혼 임산부(출산 후 6개월 미만)는 미혼모자가족복지시설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로 연계도 가능하다. 시설에 들어갈 상황이 되지 않거나 자격이 제한된 임산부는 ‘위기임산부의 집’을 이용할 수 있다. 입양이나 시설 보호가 필요한 경우 아동복지센터로 연계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출생 미신고와 영아 유기 문제를 막으려면 위기 임산부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노력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사회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이들이 혼자 짐을 짊어지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