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새 연휴에도 노동은 이어져
버스기사·청소노동자 등 분주
불경기에 청년들 휴식 포기도

이른바 ‘황금연휴’ 마지막 날인 3일 오전 서울 구로구에서 버스 기사 최영근씨(65)가 마을버스를 몰고 있다. 김송이 기자
6일간의 ‘황금연휴’ 마지막 날인 3일 오전 10시30분쯤 서울 구로구의 한 버스 차고지에서 20년 차 버스 기사 박모씨(56)가 추석 연휴 동안 쉬고 온 동료 기사와 인사를 나눴다. 이날 오전 4시30분 첫차를 운전한 박씨는 추석 연휴 기간 명절을 쇠러 서울 각지를 오가는 승객들을 날랐다.
박씨가 고향인 전남 목포를 다녀온 것은 5년 전이 마지막이었다고 한다. 연휴 때도 ‘시민의 발’인 버스는 운행을 계속하기 때문에 박씨를 비롯해 버스 기사들이 자리를 비우기는 여의치 않다. 박씨는 “버스가 여러 역을 지나기 때문에 연휴 동안 짐 가방이나 선물을 들고 타는 귀성객을 많이 봤다”면서 “나도 남들 쉴 때 쉬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다”고 했다. 그는 “결근계를 쓰면 쉴 순 있지만, 그마저도 기사가 부족하면 쓸 수 없다”면서 “또 시급제로 일하기 때문에 불경기를 생각하면 결근계를 쓰기도 쉽지 않다”고 했다.
대체 휴일이 겹쳐 평년보다 긴 휴식기가 주어졌지만, ‘황금’이라 불린 연휴를 누릴 기회가 모두에게 주어진 것은 아니었다. 박씨와 같이 다른 사람들의 ‘쉼’을 위해 자리를 지킨 이부터 자의 혹은 타의로 일터를 찾은 이들까지, 황금연휴 중에도 곳곳에서 각자의 노동을 이어간 사람들이 있었다.
마을버스도 연휴 내내 서울 곳곳을 쉼 없이 달렸다. ‘구로 15번’ 버스를 운행하는 최영근씨(65)는 연휴 동안 하루도 쉬지 않았다고 했다. 최씨는 “평소에도 기사가 부족해서 일주일에 한 번 쉬는데 연휴에도 마찬가지였다”면서 “나는 가족도 없고 혼자라서 그냥 일했다. 쉴 기사들은 쉬라 하고 내가 나온 것”이라고 했다.
이날 오후 1시40분쯤 쇼핑 겸 나들이를 나온 승객들로 붐비는 서울지하철 1호선 신도림역 승강장에서는 청소노동자 A씨(62)가 대걸레를 들고 바삐 움직이고 있었다. 여느 때처럼 이날도 오전 6시에 출근했다는 A씨는 승강장 바닥에서 검은 자국을 발견하자 대걸레로 재빠르게 닦아냈다. 그는 “이번 연휴에 원래 휴무인 토요일 하루 쉬었다”면서 “내 일이니까 추석에도 일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
스스로 노동을 택한 이들도 있었다. 불경기에 치솟는 물가로 생활고에 시달리는 청년들이 주로 그런 이들이었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취업준비생 김모씨(24)는 고향 대구에 가는 대신 식당에서 시급 1만2000원에 포장 아르바이트를 했다. 지난달 27일부터 2일까지 닷새간 하루 3시간 일을 해 총 18만원을 벌었다고 했다. 김씨는 “보통 연휴에 고향을 가지 않으면 쉬거나 공부를 하는데, 올해는 적은 돈이라도 벌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