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검찰은 언제까지 이재명에만 매달려 있을 건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검찰은 언제까지 이재명에만 매달려 있을 건가

백현동 개발특혜·쌍방울그룹 대북송금 등 의혹으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7일 구속 영장이 기각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나서던 중 입장 발표를 마친 후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백현동 개발특혜·쌍방울그룹 대북송금 등 의혹으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7일 구속 영장이 기각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나서던 중 입장 발표를 마친 후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서울중앙지검이 1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위증교사’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제1야당 대표에 대한 네 번째 기소다. 검찰은 이 대표가 2018년 12월 ‘검사 사칭’과 관련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재판에서 김모씨에게 허위 증언을 요구했다고 의심한다. 검찰은 백현동 개발 의혹, 쌍방울 대북송금 관여 의혹, 위증교사 의혹 등을 묶어 청구한 이 대표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지난 12일 백현동 건을 분리해 기소한 바 있다. 이날 검찰 기소로 이 대표로선 대응해야 할 형사 재판이 나흘 새 두 건 추가됐다.

검찰은 위증교사 혐의를 별도 기소한 이유에 대해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 재직 중에 저지른 범행으로 재판 진행 중인 대장동·위례·백현동 개발 비리 등 사건과 직접적 관련성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검찰이 지난 9월18일 법원에 청구한 이 대표 구속영장에는 이들 혐의를 모두 한꺼번에 적시했다. 이 대표의 범죄 혐의 총량을 늘려 영장을 심사하는 판사의 구속 심증을 조금이라도 더 높이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막상 영장이 기각되자 이제는 사안별로 ‘쪼개기 기소’를 들고나온 것이다. 꼼수이자 검찰권 남용이다. 이 대표가 출석해야 하는 재판 수를 늘려 정치적으로 압박하고 정신적으로 괴롭히겠다는 의도로밖에 읽히지 않는다.

윤석열 정권 출범 후 1년5개월 동안 검찰 칼날은 이 대표 한 사람만을 겨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장동 의혹으로 시작해 성남FC, 백현동,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으로 이 대표 수사는 밑도 끝도 없이 이어졌다. 서울중앙지검·수원지검·성남지청 특수통 검사 50명 이상이 동원되고, 압수수색은 376건(검찰 주장 36회) 진행됐다. 그런데도 여전히 이 대표 ‘전담수사팀’이 수원지검에 꾸려져 가동 중이다. 형사6부는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을 캐고, 방위사업·산업기술범죄수사부는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을 조사하며, 공공수사부는 이 대표 배우자 김혜경씨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의 ‘김만배씨 허위 인터뷰 의혹’ 수사도 최근 이 대표 쪽으로 방향을 트는 모양새다. 허위 인터뷰 발원지가 민주당 ‘화천대유 TF’인데 이 TF가 이 대표 대선 캠프와 관련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언제까지 수사하고, 기소·재판을 뗐다 붙이며 이재명 한 명에게만 매달려 있을 것인가. 이러니 비 내릴 때까지 제사를 지낸다는 인디언 기우제와 검찰 수사를 견주는 것이다. 이원석 총장 이하 검찰 수뇌부는 각성해야 한다. 공정성과 정치 중립성을 상실한 검찰 수사는 국민의 신뢰와 힘을 얻을 수 없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