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 대통령과 여당, 민심 이반 커지는 이유 직시해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 대통령과 여당, 민심 이반 커지는 이유 직시해야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윤석열 정부를 심판한 민심은 선거 후에도 매섭다. 16일 리얼미터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5개월 만에 최저치인 32%로 내려갔고, 더불어민주당(50.7%)은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한국갤럽의 지난 15일 조사에서도 국민의힘은 33.9%로 38.1%의 더불어민주당에 뒤졌다. 한 달 전 앞섰던 민주당에 역전당한 것도 충격이지만, 서울 지역에서 가장 많은 약 10%포인트의 지지율이 빠진 점은 뼈아플 수밖에 없다. 이번 보선을 전후해 수도권·중도층·젊은층에서 여당 지지율의 동반 하락세가 뚜렷하다. 이런 결과는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실정·불통의 책임주체이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국정 기조·당정관계·인적 쇄신이 여권의 최우선 혁신과제임을 경고한 것일 수 있다.

그런데도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보선 책임을 지고 물러난 이철규 전 사무총장 후임에 이만희 의원(경북 영천·청도)을 기용했다. 대선 때 윤석열 대통령후보 수행단장이었던 이 의원을 내년 총선 공천 실무를 총괄하는 자리에 앉힌 것이다. 선거 패배의 당대표 책임을 임명직 당직자 교체로 방패막이 삼은 것도 모자라 당 3역인 대표·원내대표·사무총장이 ‘TK(대구 경북)·친윤석열계’로 채워진 셈이다. 그마저도 당에선 김 대표가 박대출 전 정책위의장을 사무총장으로 밀다가 ‘돌려막기’라는 여권 내 반발·논란 끝에 수정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용산 거수기’로 전락한 집권여당을 바꾸라는 민심 요구와 동떨어진 ‘눈 가리고 아웅’식 대응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지난해 수해 때 망언으로 빈축 산 김성원 의원을 총선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수장에 임명했다. 혁신과도, 민심과도 먼 인사로 첫 단추를 끼운 당직 개편부터 어이없고 황당할 뿐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 참모진에게 “국민·현장·당정 소통을 더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민심 이반이 커지는 이유엔 여전히 답하지 않고 있다. 민생과 먼 이념전이나 검찰국가로 치닫는 국정기조와 상명하복의 당정관계, ‘반국가세력’으로 공격한 대야 관계를 바꾸라는 게 선거 민심이다. 윤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쇄신은 국민을 위해서 치밀하게 점검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 말대로 하면 된다. 국민을 위한 쇄신은 남 탓보다 대통령과 여당에서 시작해야 하고, 국회와 야당을 국정 운영의 또 다른 축 삼아 협치의 물꼬를 열어야 한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재옥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재옥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