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일반 대행사 소속 배달노동자 10명 중 4명 “계약서 없이 근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일반 대행사 소속 배달노동자 10명 중 4명 “계약서 없이 근무”

“면허도 확인 안 해” 30% 육박
노조 “사업자 등록제 도입을”

음식배달 대부분을 수행하는 일반 배달대행사 소속 배달노동자 10명 중 4명은 계약서조차 쓰지 않는 등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는 지난 8월1일부터 9월31일까지 일반대행사 소속 배달노동자 549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일반대행사 배달노동자들은 배달주문의 70~80%를 수행한다. 식당 자영업자 대부분은 배민·요기요 등 주문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주문을 받고, 이를 일반대행사 배달노동자에게 맡긴다. 부릉·바로고·생각대로·만나플러스 등 ‘배달대행 플랫폼’이 자영업자와 일반대행사를 연결해준다. 지난해 전국 일반대행사는 7749곳에 달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40.3%는 일하며 업무·리스·렌털 등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교부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허조차 미확인했다는 응답은 28.6%, 배달 일을 할 때 필수인 ‘유상운송보험’ 등 보험을 미확인했다는 응답은 23.9%에 달했다.

28.6%는 일방적인 배달료 삭감과 수수료 인상을 경험했고, 25.1%는 임금체불을 당했다. 부당 대우에 개인 또는 동료와 함께 항의해본 응답자는 28.6%뿐이었다. 부당 대우에 항의하지 못한 이들에게 이유를 물으니 ‘누구에게 연락해야 할지 모르겠음’(30.1%), ‘딱히 답이 없음’(23.9%) 등이 꼽혔다.

‘산재 신청을 해본 적 없거나 산재 신청을 어떻게 하는지 모른다’는 응답은 60.0%에 달했다. 21.5%는 ‘산재 신청 시 사장·관리자의 눈치가 보인다’고 답했다. 다치거나 아파 일을 하지 못했을 때 ‘산재휴업급여’를 받은 비율은 1.17%에 그쳤고, ‘저금해둔 돈으로 생활했다’는 응답이 67.7%로 가장 높았다. 지난 7월 산재보험 가입 요건에서 ‘전속성’(한 사업장에 종속돼 일하는지 여부)이 폐지돼 배달노동자들도 산재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됐지만, 62.3%는 이 사실을 몰랐다.

라이더유니온은 “2019년부터 배달대행사 사장들이 계약서 작성, 면허·보험 확인, 산재 처리 등 최소한의 규칙을 지키면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배달대행 사업자 등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지만 정부는 아직 대책이 없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