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쓸모없어 보이지만 아름다운’ 시의 생명력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쓸모없어 보이지만 아름다운’ 시의 생명력

입력 2023.10.27 20:41

“두부를 구우면 겨울이 온다//…//아서라, 죽은 이는 다시 부르는 게 아니야//아무도 말을 꺼내지 않는 찰나에도/두부는 아주 평화롭게 구워진다” (한여진 ‘두부를 구우면 겨울이 온다’ 중에서)

새로 문학 담당을 맡은 이후로 놀랐던 건 시집의 세계였다. 짧은 책조차 읽지 않고 유튜브로 보는 세상에, 시집은 생각보다 많이 출간됐다. 누가 사볼지 궁금했다. 출판업계 이야기를 들어보니, 보통 책은 첫번째 인쇄할 때 2000부를 찍지만 시집은 1000부로 줄었다고 한다. 아주 유명하고 인기 있는 시인이 아닌 이상 그마저도 다 팔기 쉽지 않다고 했다.

장석주가 시인 29명의 시를 분석하고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평론집 <지금은 시가 필요한 시간>을 냈다. “좋은 시는 지층을 뚫고 밖으로 나온다.” “시를 쓰는 일은 개를 목욕시키는 일, 운동장을 가로질러 질주하는 일, 심심함에 못 견뎌 잔잔한 연못에 돌을 던지는 일들과는 다르다. 그렇건만 시는 무위에 헌신하는 일, 아무 쓸모가 없는 아름다움을 구하는 일이다.”

지난 주말 대형서점에서 한 출판사의 시집 시리즈를 전시해둔 코너를 봤다. 시집의 표지는 심플하고, 색감은 강렬했다. 시의 아름다움을 넘어서 표지까지 이렇게 아름다운 일인가 싶었다.

이번주 신간 <두부를 구우면 겨울이 온다> 표지도 흰색의 단일 컬러다. 시집 표지를 카메라에 담아 인스타에 올리기에 딱 좋은 구도라고 생각했다. 내심 누가 살까도 싶었다.

한참 지켜봤다. 시집을 집어든 한 명을 마주했다. 10대쯤으로 보이는 소년이었다. 참고서를 든 그의 친구는 “또 시집이야?”라고 했다. 다행이다. 또 시집이어서. 시끄러운 세상 속에서 ‘쓸모없는 아름다움’도 필요한 시간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