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수도권 흰자, 노른자로 편입…이대로면 전국이 ‘서울’ 될 수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수도권 흰자, 노른자로 편입…이대로면 전국이 ‘서울’ 될 수도

[금주의 B컷]수도권 흰자, 노른자로 편입…이대로면 전국이 ‘서울’ 될 수도

국민의힘이 경기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카드를 꺼냈다. 지난달 30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김포 한강 차량기지를 방문해 “김포시가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서 절차를 진행하면 공식적으로 서울시에 편입하는 것을 당론으로 정하려고 한다”고 발표했다. 서울로 출퇴근과 통학하는 인구가 많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이 같은 김 대표의 발언은 총선을 앞두고 집값 상승을 기대하는 유권자의 욕망을 자극하는 것으로 읽힌다. 공론화 과정도 없이 당론으로 추진하겠다는 김 대표의 발언 이후 벌써 부동산 커뮤니티는 들썩이고 있다. “더 오르기 전에 지금이라도 김포에 집을 사야 한다”는 반응도 있다.

202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보면 서울로 통근과 통학하는 인구가 가장 많은 지자체는 고양시(16만3298명)였다. 성남시(12만8860명), 부천시(10만5457명), 남양주시(10만2004명), 용인시(9만1605명)가 뒤를 이었고, 김포시는 6만4명으로 11번째였다. 인구 대비 비율로도 광명시(20.4%), 하남시(20.2%) 순이었으며 김포는 11위(12.7%)였다.

정치인의 말에는 무게가 있다. 특히 현직 대통령을 배출한 여당 대표의 말이라면 그 무게감은 달라진다. 국민의힘이 정한 당론은 비단 김포시민 6만명에만 해당하는 일이 아니다. 충분한 근거와 설명이 없는 당론은 집을 지을 때 지붕부터 짓겠다는 말로 들린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