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국민의힘 못 고쳐 쓴다는 이준석 “신당 창당, 이미 실무 준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국민의힘 못 고쳐 쓴다는 이준석 “신당 창당, 이미 실무 준비”

“비명계·진보정당 인사들과 교류”

부산 찾은 인 위원장과 만남 거부
“환자는 서울에” 대통령과 각 세워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5일 신당 창당과 관련해 “비명(비이재명)계를 포함해 진보정당 계열 인사들과 교류하고 있다”며 이미 실무적 준비까지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직접이 전 대표를 찾으며 ‘통합’을 강조했지만 신당을 향한 버스는 이미 시동을 건 모양새다.

이 전 대표는 전날 인 위원장 앞에 “(당을) 혁신으로 고쳐 쓸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환자는 서울에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과 각을 세웠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신당 창당이라는 게 말을 하면 ‘뿅’ 하고 내일 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나”라며 “실질적으로 이미 사람들을 만나면서 움직이고, 실무적인 준비를 하는 건 한동안 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명계를 다 포함해 진보정당 계열 인사들과도 교류하고 있다”며 이념 구분 없이 다양한 정치권 인사들을 만났다고 전했다.

이 전 대표의 마음이 신당 창당 쪽으로 기운 것은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에도 윤 대통령이 달라질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현 국민의힘 지도 체제로는 윤 대통령의 책임을 묻거나 변화를 견인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그런 만큼 당정관계 개혁을 혁신 의제에서 아예 제외한 인 위원장의 이 전 대표 끌어안기는 실패할 확률이 높다. 윤 대통령 외에는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 움직임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인 위원장은 신당론의 핵심인 유승민 전 의원과 지난달 31일 만났고, 지난 4일 부산 경성대학교에서 열린 이 전 대표의 토크콘서트를 불시에 찾았다. 인 위원장은 이 전 대표 징계 해제를 1호 혁신안으로 제안하고, 당 혁신에 대한 조언을 듣겠다며당내에서 함께하자는 뜻을 내비쳤다. 인 위원장은 이날 MBN에 출연해 “신당을 만들면 본인도 우리도 서로 좋지 않다”며“통합해야 한다. 신당 발표하는 날까지 안으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전 대표는 전날 토크콘서트를 찾은 인 위원장 앞에서 영어로 “내가 환자인가. 진짜 환자는 서울에 있다”며 “당신(인 위원장)은 그와 대화를 해봐야 한다. 그는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저는 (국민의힘에 대한 기대를) 어느 정도 내려놨다”며 “혁신이라는 말로 고쳐 쓸 수 있는 단계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2020년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의 패배가 덜 뭉쳐서 졌나”라며 인 위원장이 말하는 ‘통합’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전 대표는 인 위원장이 당 핵심들의 희생을 요구한 것에 대해서도 “인 위원장은 그걸 얘기하면서 이철규는 훌륭한 사람이라고 왜 얘기했나”라며 “자기가 빚을 진 사람이나 자기를 밀어 올린 사람들은 건드리지 못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인 위원장이 말하는 혁신이 핵심을 겨누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순한 ‘반윤연대’엔 선 그어…외연 확장 취지

만남, 있었지만 없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4일 이언주 전 의원과 함께 토크콘서트를 하기 위해 부산 경성대학교에 도착해 관계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위 사진).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이 전 대표와 이 전 의원의 토크콘서트 행사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만남, 있었지만 없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4일 이언주 전 의원과 함께 토크콘서트를 하기 위해 부산 경성대학교에 도착해 관계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위 사진).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이 전 대표와 이 전 의원의 토크콘서트 행사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당 창당이 실제 이뤄질지의 관건은 보수를 넘어 얼마나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지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친윤 내에서는 이 전 대표의 신당 움직임이 과거 유 전 의원처럼 ‘배신자 프레임’에 갇힐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유 전 의원이 이끌던 바른미래당은 광역·기초의원을 제외하곤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했다. 당시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낙선자들은 바른미래당에 보수 표를 빼앗겼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구상하고 있는 신당의 방향성에 대해 단순한 ‘반윤연대’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보수 내 개혁세력을 넘어 중도·진보까지 외연을 확장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그는 “보수 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도하는 큰 덩어리와 단순히 권력 싸움을 하는 신당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이념적) 스펙트럼은 핵심 가치를 빼놓고는 제한을 두지 않을 생각”이라고 전했다.

이 전 대표는 “어느 정당이든 다양성을 추구하겠다고 하면서도 최종 의사결정 과정은 논쟁이 아니라 우격다짐”이라며 “여러 가지 사안에 대해 합리적 논쟁을 할 수 있는 사람들끼리 모여 있으면 재미있는 시도가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신당 창당 여부에 대한 이 전 대표의 최종 결심 시점은 내년 총선을 100일 정도 앞둔 연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12월27일은) 개인적으로 굉장히 의미 있는 날짜”라며 “총선 100일 앞두고 당내에 말도 안 되는 상황들이 개선이 안 되면 그 뒤에 이미 국민들은 여당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12월27일은 이 전 대표가 2011년 ‘박근혜 비대위’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한 날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