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98) 경성전차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98) 경성전차

  • 김형진 셀수스협동조합 이사장

근현대 질곡의 역사와 서민의 애환 실렸던 ‘철도깨비’

경성전차 1971년.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경성전차 1971년.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경성전차 2023년.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경성전차 2023년.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제 이름은 경성전차입니다. 고종 임금이 명성황후의 능이 있는 홍릉 행차 시, 가마로 이동하는 것보다 전차로 가는 게 경비가 저렴하다고 해서 전차가 1899년에 개통됐습니다. 저는 전기로 움직이는 노면 전차로 1960년대 중반까지 서울시내 철로 운행을 했습니다.”

“운행 잘하던 전차 철로가 왜 갑자기 땅에 묻혔죠?”

“광복 이후, 서울의 자동차와 버스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도로 한가운데를 통과하는 전차가 교통 방해자가 됐습니다. 그러자 전차사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었습니다. 이 와중에 미국 존슨 대통령의 한국 방문에 맞춰 서울시장이 전차 철로가 지저분하다고 1966년에 그대로 묻어버렸습니다. 그리고 그 위에 공구리를 쳤습니다.”

“공구리라는 일본말은 삼가 주세요.”

“죄송합니다. 경성의 모든 전차를 일본인들이 운전해 일본말이 몸에 뱄습니다.”

“검사님! 공소사실의 요지를 진술해 주세요.”

“피고인 전차는 두 건의 살인을 했습니다. 첫 번째는 1899년 전차 개통식 후 일주일 만에 탑골공원 앞에서 다섯 살짜리 어린이를 치어 죽였습니다. 현장에서 즉사한 아이의 아버지와 성난 군중이 전차를 도끼로 찍고 불태웠습니다. 두 번째 살인은 철로를 목침처럼 베고 노상에서 자고 있던 두 명의 머리 위를 전차가 그대로 지나갔습니다.”

“피고인은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나요?”

“인정합니다.”

“재판을 마치려는데 피고인 더 할 말 있으면 하세요.”

“사건 발생 당시, 경성에는 신호등, 가로등, 횡단보도가 거의 부재했습니다.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 정차장도 별도로 없었습니다. 콩나물시루 같은 정원 초과의 전차가 멈추기도 전에 사람들은 올라타고 뛰어내렸습니다. 이런 무질서 속에서 아이들이 저를 보고 신기하다고 뛰어오면 반가움보다 급브레이크에 가슴이 덜컹거렸습니다. 그리고 철로에 누워 자다가 변을 당한 분들은 막차가 지연된 것을 모른 채, 마지막 전차가 지나갔다고 오판해 발생한 사고입니다. 판사님! 현재 두 대의 전차만 남아 있는데요, 저는 반세기 넘게 방치되어 있다가 2000년대 들어서야 서울역사박물관에 전시되었습니다. 전차가 문명의 이기(利器)에서 흉기(凶器)로 조롱받고 퇴장당하면서 저는 평생 달려온 철로에서 길을 잃었습니다. 최후진술 마치겠습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