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28일부터 폐관 전날인 3월 14일까지
설경구·박학기·한경록·방은진·장현성 등 참석

5일 서울 강서구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열린 <학전AGAIN>프로젝트 기자간담회에서 박학기, 배해선,장현성,설경구,방은진,김형석,한경록,박승화,루카(왼쪽부터)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재정난 등으로 내년 3월15일 폐관하는 대학로 소극장 ‘학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공연이 열린다.
‘학전 AGAIN’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가수와 배우들이 5일 서울 강서구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회견에는 가수 박학기, 유리상자의 박승화, 여행스케치의 루카, 크라잉넛의 한경록, 배우 설경구·장현성·배해선, 감독 방은진, 작곡가 김형석, 작사가 김이나 등이 참석했다. 1991년 ‘아침이슬’을 만든 김민기가 개관한 학전은 지금은 유명인이 된 많은 뮤지션과 배우들의 시작을 함께한 대학로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프로젝트를 기획한 박학기는 “학전은 저희가 첫발을 내디딘 꿈의 장소였다. 거기서 뿌리를 내리고 나무로 성장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돌아보면 김민기 대표는 항상 그 자리에 있었다. 항상 그 모습으로 영원하리라고 생각했는데 어느 날 보니 나이도 많이 드셨고, 힘든 것을 혼자 감내하고 있었다. 우리 모두는 학전에 마음의 빚이 있다”고 말했다. 설경구는 학전의 대표작 <지하철 1호선> 포스터를 붙이다 김 대표의 추천으로 무대에 서게 된 일화를 이야기했다. “‘성실해 보여서’ 무대에 세웠다고 들었다. 제 연기 인생 30년의 시작점이었다.”

가수 박학기가 5일 서울 강서구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열린 <학전AGAIN>프로젝트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학전 AGAIN’ 프로젝트는 많은 가수, 배우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추진됐다. 내년 2월부터 시작되는 공연은 가수 2~3개 팀과 배우가 함께하는 콘서트, 김광석 다시 부르기 콘서트, 김민기 트리뷰트 콘서트 등 다양한 형식으로 기획될 예정이다. 굿즈 제작이나 크라우드 펀딩 등을 하는 방법도 논의 중이다. ‘학전 AGAIN’ 외에 ‘학전 라스트 콘서트’ 등의 이름이 논의됐는데, “마음속 학전이 없어질 수 없다”는 가수 강산에의 제안으로 지금의 이름으로 결정됐다고 한다.
다만 ‘학전 AGAIN’ 프로젝트로 일부 수익이 생기더라도 그 돈으로 학전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극장 자체가 월세로 운영되는 데다 ‘학전’이라는 이름만 남기는 것도 무의미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 문화 많이 본 기사
박학기는 “지금 세입자다. 단순히 누가 와서 ‘우리가 몇달 도와드릴게요’ 한다고 해도 힘들다. 개인이 아니라 관 같은 데서 들어와야 운영이 될 것”이라며 “또 학전이라는 이름만 있는 건 의미가 없다. ‘학전의 DNA’가 유지돼야 하는데, 유지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방은진은 “폐관 결정 시기를 여러 번 가늠하다 판단을 한 것”이라며 “새삼스럽게 기업에 후원이나 정부 측에 무언가를 바라고 있진 않다. 유형의 공간을 산다고 해서 극장이 돌아가는 것도 아니다. 다만 폐관도 학전답게 하는 것을 꿈꾸고 있다”고 했다. 다른 곳으로 학전을 이관하는 것에 대해서도 “그렇게 하는 것은 김민기의 뜻과는 다른 것 같다. 원하지 않는다”(박학기)고 했다.
공연은 내년 2월28일부터 폐관 하루 전인 3월14일까지 학전에서 열린다.

배우 설경구가 5일 서울 강서구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열린 <학전AGAIN>프로젝트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