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민주당, 친명 뜻대로 ‘대의원제 축소’ 확정…비주류 “총선 패배 황교안의 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민주당, 친명 뜻대로 ‘대의원제 축소’ 확정…비주류 “총선 패배 황교안의 길”

당헌 개정, 중앙위도 통과

“강성 지지층에 종속” 우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높이고 총선 공천에서 현역 국회의원 평가 하위 10%의 감산 폭을 늘리는 당헌 개정안이 7일 확정됐다.

민주당 중앙위원회는 이날 당헌 25조 및 100조 개정의 건을 온라인 투표에 부쳤다. 중앙위원 605명 중 490명(80.99%)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331명(67.5%), 반대 159명(32.45%)으로 재적 위원 과반 이상이 찬성해 당헌 개정의 건이 가결됐다. 최고위원회,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까지 통과하면서 당헌이 개정됐다.

당헌 25조는 전당대회 투표 반영 비율을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국민 25%, 일반당원 5%에서 대의원·권리당원 70%, 국민·일반당원 30%로 바꾸되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반영 비율을 20 대 1 미만으로 하는 내용이다. 당헌 100조는 현역 국회의원이 선출직 공직자 평가에서 하위 10%를 받으면 총선 경선에서 받은 득표수의 30%를 감산한다는 것이다. 현재는 하위 20%까지 일괄적으로 20%를 감산한다.

중앙위원들은 투표에 앞서 국회도서관에 모여 개정안을 두고 격론을 벌였다. 비주류 의원들은 부결을 호소한 반면 대다수 원외 지역위원장들은 가결해달라고 맞붙었다.

가장 처음으로 발언대에 선 박용진 의원은 하위 10% 감산 폭 확대에 반대했다. 이원욱 의원은 민주당이 강성 지지층의 요구에 얽매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태극기부대와 결합해 총선에 패배했다. 우리가 가려고 하는 꼴이 바로 그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고 했다. 홍영표 의원은 “김은경 혁신위원회 1호가 불체포특권 포기였다. 이재명 대표부터 그렇게 했나”라고 비판했다.

중앙위원 일부는 대의원 표 가중치가 줄어들면 취약 지역의 목소리는 당 의사결정에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울산에서 온 청년 중앙위원은 “대의원 비율이 축소된다면 청년과 열세 지역의 대의성이 급격히 축소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노동 등 직능 부문 대의원의 소외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