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치과가 싫어할 책, 독자가 좋아합니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치과가 싫어할 책, 독자가 좋아합니다

<임플란트 함부로 하지 말아야 할 이유>(도서출판 말) 표지만 보고는 치아 건강 정보를 자극적인 제목으로 달아 소개하는 책으로 지레짐작했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금-인레이가 너무 많아서 놀랐다. 치아가 없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 데도 놀랐다. 치료되지 않은 충치도 많았다.”

2022년 11월 개인병원을 정리하고, 공장 등지로 건강검진을 다니는 는 예방치학 전문가 김광수가 현장에서 목격한 일이다. 50~60대 노동자 중에 틀니를 한 이도 많다고 한다. 돈이 없거나 시간을 낼 수 없어 제때 치료받지 못해 벌어진 현실이다.

아말감 충전 문제도 놓였다. 김광수는 많은 치과에서 보험 적용을 받는, 하나에 1만7000원가량 하는 아말감 충전을 거의 하지 않고, 40만 원 안팎의 금-인레이만 취급하는 문제도 지적한다. 아말감은 해롭다? 김광수는 20여 년을 아말감으로 충치 치료를 했다고 한다. “인체에 해롭다는 아말감을 복지부가 허락했다면 복지부 장관부터 책임져야 할 것이다.”

책은 치과업계 과잉진료와 의료상업화 문제를 주로 비판한다. 그 중심에 임플란트가 있다. 김광수는 요즘 치아를 너무 쉽게 뺀다고 말한다. ‘치아 살리기’ 즉 ‘신경 치료’도 드물다고 했다. “빼지 않아도 될 치아는 빼면 안 된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원칙이 무너져 가고 있다.”

아 건강 정보도 다룬다. 충치 예방을 위한 ‘회전법 잇솔질’ 등을 소개한다. 인터넷이나 유튜브에도 소개법이 많으니 참조하라고 했다. 지도교수가 치약이 아니라 ‘세치제’로 쓰라고 강조한 일도 전한다. 약이 아닌데도 치약이란 말을 쓰면 “치약만 잘 쓰면 충치나 치주병이 치료된다”는 잘못된 지식이 퍼질 수 있다는 취지의 주장이었다. 치약은 싸나 비싸나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동종업계 사람들한테 욕먹을 각오하고 쓴 책이다. 그는 “경제적으로 힘든 사람도 떳떳하게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의료국영화나 공공의료 강화도 “결국은 우리가 가야 할 길”이라며 우선 졸업생을 100% 공공의료기관에 취업하도록 하는 “공공 의과대학” 설립을 제안한다.

[책과 책 사이]치과가 싫어할 책, 독자가 좋아합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