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토요일의 문장] “그러니까 왜 기어 나왔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토요일의 문장] “그러니까 왜 기어 나왔어”

[토요일의 문장] “그러니까 왜 기어 나왔어”
“그러니까 왜 기어 나왔어. 나는 다른 영상을 더 보고 스크롤을 내렸다. 또다시 닥치는 대로 보게 될 것이다.”

<전자적 숲; 더 멀리 도망치기> 민음사


동물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한자리를 계속 맴돌거나 지신의 배설물을 먹는 등의 목적 없고 지속적인 행동을 ‘정형행동’이라고 한다. 무한경쟁을 하라고 채찍질하면서도 마음 건강을 챙기라는 메시지가 끊임없이 나오는 기묘한 사회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6편의 시와 7편의 소설 모음집 <전자적 숲; 더 멀리 도망치기>에는 유튜브 쇼츠 영상을 하루 종일 돌려보는 인간의 행동을 동물의 ‘정형행동’에 비유하는 단편소설이 나온다. 서이제의 ‘더 멀리 도망치기’에서 주인공 ‘나’는 폭력적인 인물 ‘종’에게서 벗어날 수 없다. ‘종’과 경마를 하고 동물원에도 간다. 동물원에서 늑대를 만난다. “철창 안에 갇힌 늑대는 아까부터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있었다. 그러니까 철창 앞을 끊임없이 왔다갔다 하고 있었던 것인데, 왜 저러는지는 알 수 없었다.” ‘나’는 경마와 종으로부터 도망치는 대신 밤새 유튜브 쇼츠 영상을 재생한다. 그날 동물원에서 탈출한 말이 찍힌 영상도 보게 된다. 겁에 질린 말은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른다. ‘나’는 말을 향해 “왜 기어 나왔어”라고 혼잣말을 한다. 짧은 영상에 갇힌 우리의 행동과 철창에 갇힌 늑대, 뛰쳐나온 말, 누가 행복할까.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