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교재에는 공적만 나열
보훈부 ‘1월 독립운동가’ 선정
정부, ‘영웅화’ 작업 지속 추진
홍범도 장군 폄훼 사례와 대비

‘공’과 ‘과’ 사이 국가보훈부가 2024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이승만 전 대통령을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전 대통령의 동상이 서울 중구 한국자유총연맹 광장에 서 있다. 조태형 기자 phototom@kyunghyang.com
윤석열 정부가 이승만 전 대통령의 과오는 외면한 채 공적만 치켜세우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이 전 대통령을 2024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국방부는 장병 정신전력 교재에서 이 전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를 선도했다”고 밝히면서, 3·15 부정선거와 4·19혁명으로 하야한 사실은 아예 언급하지 않았다. 정부의 ‘이승만 띄우기’가 지나치게 이념 편향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훈부는 25일 ‘세계 속의 독립운동’을 주제로 선정한 2024년 1~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총 38명을 공개했는데 그중 1월의 독립운동가로 이 전 대통령이 등재됐다. 보훈부는 “이승만은 1919년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을 지냈고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으로서 한인 자유대회 개최와 한미협회 설립 등의 활동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전 대통령을 ‘국가 영웅’으로 기리는 작업은 윤석열 정부에서 계속 추진되고 있다. 지난 3·1절 기념식 배경으로 안중근·김구·안창호·유관순·윤봉길 선생 등 독립운동가 11명의 얼굴이 현수막에 담기자 여권에서 이 전 대통령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이 전 대통령의 독립운동 경력 자체에 대한 이견은 많지 않다. 그러나 공과가 뚜렷한 이 전 대통령을 두고 정부가 업적만 강조하는 것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1948년부터 1~3대 대통령으로 집권한 그는 사사오입 개헌과 3·15 부정선거를 자행했고 4·19혁명으로 1960년 하야했다.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추진 중인 정부가 그를 ‘건국 대통령’으로 추앙하면서 1948년을 건국 시점으로 못 박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그를 기리는 것이 홍범도 장군의 사례와 대비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방부는 홍 장군의 봉오동·청산리 전투 활약 등 독립운동 공적은 인정한다면서도 그의 소련 공산당 가입 이력을 문제 삼아 육군사관학교 교정에서 흉상을 철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공산당에 가입한 것을 현재 이념의 잣대로 평가해선 안 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국방부는 새로 발간한 정신전력교육 기본교재에서도 이 전 대통령 공적만 나열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이 교재에 이 전 대통령 이름이 15차례 등장한다. 역대 전직 대통령이 한 차례도 등장하지 않는 것과 대조된다.
국방부는 교재에서 이 전 대통령이 “혼란스러운 국내외 상황 속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선도” “이승만을 비롯한 지도자들의 혜안과 정치적 결단으로 공산주의 확산을 막았다”고 했다. 독재와 3·15 부정선거, 4·19혁명으로 하야한 사실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