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입으로 지은 업 깨끗하게 씻으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입으로 지은 업 깨끗하게 씻으며

[이갑수의 일생의 일상] 입으로 지은 업 깨끗하게 씻으며

한 사람을 만나는 건 하나의 문을 여는 것. 말 하나를 배우는 것도 문 하나를 열고 그 세계로 들어가는 것. 가전제품 살 때, 어디 기계만 달랑 오던가. 설명서에 딸려온 새로운 단어로 사용법을 익힌다. 좋은 일은 앞에 있는 법, 이 물건과 엮어나갈 사연은 또 얼마이겠는가.

사람 人. 작대기로 지게를 받쳐놓은 듯 사람이 서로 의지하는 모양이라고 풀이한다. 문 門. 문이야말로 더욱 구체적이다. 마주 보는 두 얼굴의 옆모습이 아닌가. 우리는 문을 만나고 문을 통과하면서 결국 바깥까지 나아간다.

대설 지나 동지도 지나면서 시간의 문이 점점 잘록해진다. 계묘년을 닫으며 성큼 들어서는 갑진년. 올해의 마무리를 겸해서 경주에 간다. 발뒤꿈치라도 뚫을 기세의 찬 날씨. 신경주역 광장의 무덤에 가볍게 목례하고 대릉원의 고분군을 거닌다. 여기에서는 오로지 행각(行脚)이다. 첨성대 지나 계림, 반월성에 올라 경주를 일별한 뒤, 내처 성곽을 따라 박물관까지 살살 걸었다. 지금 우러르는 하늘은 천년 전이나 천년 후에도 서로 닮은 풍경.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전. 경주 남산에서 발견되었다는 수구다라니(隨求陀羅尼). 이 부적은 부처의 핵심 가르침으로 신비로운 힘을 지니는 주문을 말한다.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참된 말’이라는 뜻의 수구다라니. 소박하고 그윽하고 도저한 전시장에서 신라에 흠뻑 젖었다가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시간.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로 입안을 청소하며 바깥으로 나선다. 들고 남을 구별하지 않는 정문 중앙에 건장한 수위(守衛)가 서 있다. 좀전 나를 맞이하던 그 자세 그대로의 안내판. 이목구비를 지운 채 단석산의 저녁놀을 배경으로 ‘무료관람’, 네 글자를 받드는 저 훤칠함 앞에서 어찌 신라인의 현신인 듯 돌올한 기상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겠더냐.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