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특검 정국’서 사라진 김건희 여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특검 정국’서 사라진 김건희 여사

입력 2024.01.09 22:31

26일째 공식행사에 불참

‘정부에 리스크’ 의식한 듯

‘특검 정국’서 사라진 김건희 여사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여사(사진)가 9일 지난해에는 참석했던 문화예술인 신년인사회와 신년음악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지난달 네덜란드 국빈방문 이후 대통령 공식 일정에서 김 여사를 찾아볼 수 없다. 김 여사 주가조작 연루 의혹 수사를 위한 특검법에 대해 윤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면서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취를 감춘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개최된 ‘문화예술인 신년인사회’와 ‘국민과 함께하는 2024 신년음악회’에 참석했지만 김 여사는 불참했다. 전시기획사인 코바나컨텐츠 대표였던 김 여사는 지난해 6월 서울국제도서전(SIBF) 개막 행사, 지난해 10월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등 굵직한 문화예술 행사에 참여해왔던 터라 이날 불참은 이례적이다.

이날까지 김 여사가 공식 행사에 불참한 지 26일째다. 앞서 김 여사의 마지막 공식 행사 참석은 지난달 15일 네덜란드 국빈방문을 마친 이후 서울공항에서 열린 도착 환영식이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서울 혜화동 성당에서 열린 성탄 대축일 미사, 25일 서울 중구 정동제일교회에서 진행된 성탄 예배에 혼자 참석했다.

2022년 윤 대통령과 김 여사가 성탄 미사와 예배에 동행했던 것과 대조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된 ‘2024년 신년인사회’에도 혼자 참석했다. ‘2023년 신년인사회’ 역시 김 여사가 동석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김 여사의 공식 일정 불참 이유에 대해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최근 김 여사 관련 의혹들이 윤석열 정부 리스크로 작용하는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1월27일 김 여사가 재미 목사로부터 명품 브랜드 가방을 받는 동영상을 ‘서울의소리’가 공개했다. 지난달 28일에는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련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윤 대통령은 지난 5일 거부권을 행사했다. 새해 각종 여론조사에서 60% 이상 국민이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부정적이었다.

김 여사의 잠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검 정국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는 특검법 재투표 시기를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