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장시간 일하는 여성, 집안일 스트레스에 우울증 위험 더 컸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장시간 일하는 여성, 집안일 스트레스에 우울증 위험 더 컸다

서울대 연구팀 논문 게재

장시간 일하는 여성 노동자는 ‘가정과 직장 간 갈등’을 경험할 때 남성 노동자보다 우울증 위험이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같은 장시간 노동을 하더라도 일하는 내내 자녀 하원·하교 시간, 집안일 등을 신경 써야 하는 여성 노동자가 더 큰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과정 이가린씨·김지환 연구교수·김승섭 교수는 지난 3일 국제직업환경보건학회지에 ‘장시간 일하는 여성 노동자는 가정과 직장 간 갈등이 있을 때 우울증 위험이 더 커진다’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 이 연구는 2020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6차 근로환경조사(KWCS)의 자료를 활용했다. 야간 교대 근무를 하지 않는 정규직 임금노동자 2만384명(남성 1만189명, 여성 1만195명)이 표본이다.

가정과 직장 간 갈등 경험 비율은 남성(43.1%), 여성(49.5%) 모두 40%를 웃돌았다. 가정과 직장 간 갈등은 ‘지난 1년 동안 얼마나 자주 가족에 대한 책임 때문에 일에 집중하기가 어렵다고 느꼈나?’ ‘지난 1년 동안 얼마나 자주 가족에 대한 책임 때문에 일할 시간을 낼 수 없다고 생각했나?’라는 질문으로 판단했다.

주 52시간 초과 장시간 노동은 남녀 모두에게 우울증 발생 가능성을 높였다. 주 52시간 이상 초과 그룹에서 남성, 여성의 우울증 비율은 각각 38%, 36.1%였다. 주 52시간 이하 그룹에선 각각 28.2%, 27.7%로 낮아졌다.

다만 장시간 노동을 하는 남녀 노동자 중 가정과 직장 간 갈등으로 인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더 커진 것은 여성 노동자였다.

가정과 직장 간 갈등 수준이 높은 여성 집단은 장시간 일한 여성 노동자가 장시간 일하지 않은 여성 노동자보다 우울증 발병 가능성이 35% 더 높게 나타났다. 가정과 직장 간 갈등 수준이 낮은 여성 집단에선 장시간 노동과 우울증 발병 간 연관성이 없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