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05) 반도호텔과 롯데호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05) 반도호텔과 롯데호텔

  • 정치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지리학전공 교수

일본인이 만든 반도호텔 사들여 ‘롯데 타운’의 거대한 행보…그 뒤엔 박정희의 그림자

롯데호텔(반도호텔 자리) 2024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롯데호텔(반도호텔 자리) 2024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2024년 사진은 서울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롯데호텔 모습이다. 오른쪽 건물이 1979년에 지은 본관(메인 타워)이며, 왼쪽이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1988년에 문을 연 신관(이그제큐티브 타워)이다. 본관은 지상 38층, 지하 3층 규모로, 개관 당시 동양 최대 규모의 호텔이었고, 31층의 삼일빌딩을 누르고 서울에서 제일 높은 건물이 되었다. 본관 건축에는 경부고속도로 공사비에 버금가는 비용이 들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본관 자리에는 그전에도 반도호텔이라는 호텔이 있었다는 것이다. 1971년 사진의 육중한 건물이 바로 반도호텔이다. 이 호텔은 1936년 노구치 시타가우라는 일본인이 만들었다. 그는 당시 “조선반도의 사업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한반도에서 여러 사업을 하였다. 조선총독부의 비호 아래, 함경남도에 부전강수력발전소를 건설하고, 흥남에 그 유명한 질소비료공장을 운영하였다. 그가 설립한 회사는 지금도 화학공업, 건설업을 위주로 한 일본 굴지의 대기업이다. 그 가운데 짓소(Chisso)라는 화학공장은 수은중독으로 인한 공해병인 미나마타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반도호텔 1971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반도호텔 1971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노구치 시타가우가 반도호텔을 지은 이유가 재밌다. 당시 서울에서 가장 좋은 호텔은 조선총독부가 직영하던 조선호텔이었는데, 하루는 그가 작업복 차림으로 조선호텔에 갔다가 허름한 차림이 호텔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쫓겨났다. 이에 분개한 그는 조선호텔과 가까운 부지를 사들여 조선호텔보다 더 높고 크게 8층짜리 호텔을 짓고, 4층인 조선호텔이 내려다보이는 5층에 자신의 사무실을 만들었다. 이 호텔은 임대용 상가와 사무실, 호텔이 한 건물 안에 있는 오피스텔 형태의 호텔이었다.

반도호텔은 1974년까지 서울 최고의 호텔로 영업하며, 한국 정치사와 인연을 맺었다. 해방 직후에는 미군정청이 사무실로 썼으며, 자유당 국회의원 이기붕과 제2공화국 총리 장면이 8층에 집무실을 두었다. 1963년 이후에는 국제관광공사가 운영하였으나, 노후화로 인해 점차 다른 호텔과의 경쟁에서 밀렸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의 투자 제의로,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인수하여 1974년 건물을 허물고 새로운 호텔을 지었다. 신격호는 롯데호텔 본관 옆에 당시 한국 최대 규모의 롯데백화점을 열었고, 다시 산업은행 본점 자리에 호텔 신관을 지어 거대한 ‘롯데 타운’을 완성하였다.

* 이 칼럼에 게재된 사진은 셀수스 협동조합 사이트(celsus.org)에서 다운로드해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