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급성심근경색·협심증 알아내는 심혈관 조영술, 신장 손상 등 부작용 주의해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급성심근경색·협심증 알아내는 심혈관 조영술, 신장 손상 등 부작용 주의해야

  • 강웅철 |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

심혈관질환은 심장질환과 혈관질환을 모두 포함한 질환으로 치명도가 매우 높다. 여러 심혈관질환 중 가장 치명적인 질환으로는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급성심근경색이 있다. 심장에는 심장 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이 따로 있다. 급성심근경색은 이 관상동맥 내 동맥경화반이 파열되고 혈전이 생기면서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 세포가 죽는 병이다.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한 후 2시간이 지나면 심장에 산소 공급이 중단돼 심장세포가 죽고 심장이 멈추게 된다.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해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고통이 10분 이상 지속하면 급히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강웅철 |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

강웅철 |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

협심증은 심근경색과 비슷하지만 정도가 다르다. 관상동맥이 서서히 막히거나 좁아지는 상태로,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정도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증상이 생긴다. 묵직하고 몇 분 지속하는 가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심혈관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흡연 등 전통적인 위험인자들과 과도한 영양 섭취, 스트레스, 운동 부족, 가족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심혈관 조영술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이 의심되는 환자 진단 시 유용하다. 심장혈관이 좁아졌거나 막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손목(요골동맥)이나 사타구니(대퇴동맥)를 통해 몸 안에 카테터(도관)를 넣어 심장혈관의 협착 유무를 평가하는 진단법이다. 카테터는 심장혈관에 조영제를 주사하기 위해 삽입되고, 이후 방사선을 조사해 심장혈관을 촬영한 후 진단한다.

심혈관 조영술이 중요한 이유는 심장혈관의 협착 유무를 파악한 후 환자 개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 진행하는 사전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환자는 질환 정도에 따라 약물이나 스텐트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 심혈관 조영술로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심혈관 조영술을 시행할 때는 피부 표면에 위치하는 혈관인 손목과 사타구니 쪽 혈관을 활용한다. 이 혈관들은 예리한 의료기구로 피부를 칩습하는 피부천자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검사 후 지혈도 비교적 용이해서 주로 사용된다. 다만, 여러 이유로 양쪽 손목과 사타구니 혈관이 가늘거나 막혀 있는 경우 검사가 어려울 수 있다.

심혈관 조영술은 매우 유용한 진단방법이다. 하지만 동맥을 천자해 관을 넣고 조영제를 사용해 방사선 영상을 찍는 방법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작용,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심혈관 조영술 후에는 천자한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시간 동안 지혈 기구를 이용해 지혈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영제로 신장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 전후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여러 가지 비침습적인 검사를 먼저 시행하고 이상이 발견되는 등 꼭 필요한 경우에 심혈관 조영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