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가토 기요마사와 토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가토 기요마사와 토란

입력 2024.01.15 20:08

임진왜란과 이순신을 그린 3부작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가 400만 관객을 돌파했다. <명량>에서부터 <한산>을 거쳐 <노량>까지, 이순신의 노정과 충정의 완결편이다. 조선 역사에서 가장 중대한 전란인 임진왜란을 생각하면, 마치 한 사람(이순신)이 한 나라(일본)를 대적해 싸운 전쟁처럼 기억된다. 전쟁 내내 주요 전투를 지휘했던 이순신의 존재와 업적이 그만큼 위대했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군 중에는 가토 기요마사를 빼놓을 수 없다. 가토는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전쟁이 발발하자 선봉에 섰던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대마도와 부산을 거쳐 보름 만에 한양에 도달했다. 그 후 북진을 거듭해 함경도와 두만강을 넘어 여진족 구역까지 진격하였다. 함경도와 남해 등 중첩되는 지역이 일부 있었지만, 이순신과 가토가 직접 부딪치진 않았다.

도요토미의 명령을 받아 귀환했던 가토는 1597년 정유재란 때 재차 조선을 침략하여 전라도와 경상도에 주둔했다. 창녕의 화왕산성에서 곽재우에게 패한 그는 울산에서 성을 쌓고 버텼다. 울산성에서 조·명연합군에게 포위되었던 그는 식량과 식수 부족으로 갖은 고초를 겪다 가까스로 탈출했다.

전란 후 일본으로 돌아간 가토는 구마모토 초대 번주가 되었다. 그는 울산성에서 겪었던 처절한 경험을 살려, 일본 3대 명성(名城) 중 하나인 구마모토성을 축조했다. 성을 지을 때, 그는 장기전에 대비해 기묘하고 독특한 방법을 총동원했다. 성내 여러 곳에 우물을 팠으며, 바닥에 깐 다다미의 심은 짚 대신 토란 줄기를 사용했다. 비상시 말린 토란 줄기가 병사의 식량이 되었다. 어디 그뿐인가. 벽에는 말린 박고지까지 집어넣었다. 울산성에서의 벼랑 끝 위기가 깊이 각인되었던 모양이다. 해자에 심었던 연도 연근을 먹기 위해서였다. 또한 구마모토성을 ‘긴난성(銀杏城: 은행성)’이라고도 부르는데, 성 주변에 식용할 수 있는 은행나무를 심었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일종의 ‘비상식량’으로 만든 성이라고 할 수 있다.

가토의 구마모토 축성 기술을 보며, 이어령 선생이 <축소지향의 일본인>에서 언급한 도시락 문화가 떠오른다. 밥상의 여러 음식을 작은 상자에 줄여 넣는 ‘벤또’ 문화. 일본 특유의 채워넣기(つめる, 쓰메루) 문화의 기능적 구조 원류를 구마모토성에서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오늘 아침, 아내가 끓여준 육개장 속의 토란 줄기를 보며 400여년 전의 전란을 곱씹어 본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