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06) 덕수궁 석조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06) 덕수궁 석조전

  • 김찬휘 녹색당 대표

파란만장한 현대사의 증인…의연하고 낯설지 않은 것은 왜일까

덕수궁 석조전 1971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덕수궁 석조전 1971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덕수궁 석조전 2022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덕수궁 석조전 2022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

수도권 전철 서울시청역 2번 출구로 나오면 덕수궁이 있다. 원래 남이의 역모사건 가담자인 조영달의 집이 있었는데, ‘역적’의 집이라 조정이 몰수하여 연경궁이라고 이름을 짓고 별궁으로 삼았다. 그 이후 이곳은 파란만장한 역사의 현장이 된다. 임진왜란 때 백성들이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을 모두 불태웠기 때문에 환도한 선조는 살 곳이 없어 연경궁을 개·보수해 살게 되었고, 정릉이 원래 여기 있었기 때문에 그때부터 정릉동행궁으로 불리게 되었다.

광해군이 확장을 명하고 경운궁이란 이름을 하사해 정식 궁궐로 승격되었지만,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가 격하해 오랫동안 버림받았다. 경운궁이 우리 역사의 현장으로 재등장한 것은 1896년 경복궁을 탈출해 러시아 대사관으로 피신했던(‘아관파천’) 고종이 이듬해 이곳으로 환궁했기 때문이다. 근처에 러시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공사관 등이 밀집해 일본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경운궁에서 대한제국이 선포되었다.

경운궁은 ‘제국’의 ‘황궁’이 되었다. 제국의 위세를 떨치려는 의도에서 확장과 중건을 거듭했지만,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 이후 고종이 강제 퇴위되면서 경운궁은 황궁의 지위를 잃었고 덕수궁으로 개칭되었다. 사진 속의 덕수궁 석조전이 지어진 것이 바로 이 시기다. 대한제국 광무 원년(1897년)에 설계가 시작되었고 1910년 8월 경술국치 3개월여 뒤 완공되었다. 그리스·로마 예술의 부활을 꾀한 18~19세기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석조전은 대한제국의 근대화 시도를 상징한다.

1933년 일제가 덕수궁을 공원화하면서 석조전은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이 되었다. 해방 이후 12월에는 임시정부 대환영 기념 잔치가 석조전에서 열렸고 이듬해 3월 그 유명한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려 ‘신탁통치’ 문제를 논의하는 역사의 현장이 되었다. 1955년 국립박물관, 1973년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 궁중유물전시관,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 등으로 변모했고, 결국 황궁으로 복원되어 2014년부터 ‘대한제국역사관’으로 쓰이고 있다.

파란만장한 현대사의 목격자인 덕수궁 석조전은 세월의 흐름에도 그 모습이 의연하다. 덕수궁 석조전 앞에 서면 낯설지 않다고 느껴질 것이다.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과 비슷하지 않은가?

덕수궁 입장료만 내면 석조전 입장이 가능하니 오늘 신고전주의 황궁 체험은 어떨까? 1, 2층 전시실을 보려면 덕수궁 홈페이지에서 예약하시길.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