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서울 시내 산불 AI로 실시간 감지···수락산에 시범 구축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서울 시내 산불 AI로 실시간 감지···수락산에 시범 구축

입력 2024.02.01 13:17

지난해 4월2일 산불이 난 서울 인왕산 위로 소방헬기들이 날고 있다. 이준헌 기자

지난해 4월2일 산불이 난 서울 인왕산 위로 소방헬기들이 날고 있다. 이준헌 기자

서울시는 산불 발생 실시간 감지·판독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플랫폼을 노원구 수락산에 시범 구축한다고 1일 밝혔다. 기존의 산불 감시 시스템과 연계해 더 신속하게 산불을 감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시가 수락산에 시범 구축하는 ‘지능형 산불방지 ICT(정보통신기술) 플랫폼’은 산자락 전역을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탑재해 구축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수락산 송전탑에 설치된 CCTV를 사방을 감시한다”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가 화재로 인한 것인지, 수증기인지 인공지능이 판별해 신호를 자동으로 전파한다”고 설명했다.

신호가 전파되면 산불감시 드론이 해당 위치를 정찰하면서 근접 촬영하고, 결과를 관제실에 송출해 대응하게 된다.

현재 서울 지역 산 전역에는 무인감시카메라 43대, 블랙박스 178대, 산불감시 드론 6대가 운영 중이다. 서울시는 이를 지능형 산불방지 ICT 플랫폼과 연계해 활용도를 높일 방침이다. 범죄예방용 CCTV와 블랙박스를 지능형으로 각각 85대, 50대 설치해 산불 가해자 추적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또 산불을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드론, 고압수관, 산불차량,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등 장비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지난해 서울시에서 발생한 4건의 산불 중 3건은 가해자가 검거됐다. 하지만 서울시 역대 최대 규모 산불이었던 4월 인왕산 산불 가해자는 아직 수사 중이다. 인왕산 산불은 담뱃불 등 입산자 실화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당시 피해 면적은 6만㎡에 달했다.

서울시는 범죄예방용 CCTV와 블랙박스를 확충해 산불 가해자를 신속하게 추적·검거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가해자 검거에 결정적인 제보를 하는 신고자에게 포상금 한도를 3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높이는 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올해 봄철 산불조심기간인 이날부터 5월15일까지 서울시는 산불방지대책본부, 24개 자치구(산림이 없는 영등포구 제외), 4개 공원여가센터, 서울대공원 등과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한다. 산불 전문 진화 대원 130명, 산불감시인력 260명이 산불 취약지역을 집중 순찰한다.

이수연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산불 대다수가 담뱃불 등 입산자 실화로 발생하는 만큼 산불 피해 신고 활성화를 위해 포상금을 높이고, 가해자에게는 수목 피해뿐 아니라 진화비용까지 가상한 구상권을 청구하는 등 끝까지 책임을 물겠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