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개국 시민에게 “기후 위기를 위해 소득 1% 내놓겠냐”고 물었더니

강한들 기자
녹색연합, 기후정의동맹, 환경운동연합, 청년기후긴급행동, 삼척석탄화력반대투쟁위원회 등 환경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9월 12일 강원 삼척 포스코 삼척석탄발전소 공사장 입구에서 발전소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기습 농성을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녹색연합, 기후정의동맹, 환경운동연합, 청년기후긴급행동, 삼척석탄화력반대투쟁위원회 등 환경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9월 12일 강원 삼척 포스코 삼척석탄발전소 공사장 입구에서 발전소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기습 농성을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소득의 1%를 내놓을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시민 10명 중 7명이 ‘기꺼이 내놓겠다’고 답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교, 본 대학교와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소속 연구진은 지난 9일 이런 내용이 담긴 ‘기후 행동에 대한 실제·인지된 지지에 대한 전 세계 대표 증거’ 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했다.

연구는 ‘2021/2022년 갤럽 세계 조사(Gallup World Poll)’의 하나로 125개국, 12만9902명에게 ‘매달 소득의 1%를 지구 온난화에 맞서기 위해 기부할 의향이 있는지’와 함께 ‘100명 중 몇 명이 1%를 낼 의향이 있을 것 같은지’ 등을 물었다. 소득의 1%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탄소 중립을 위해 필요하다고 예상한 연간 예산 추정치 내 범위다. 시민·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지 등도 물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는 지난 9일(현지 시간) ‘기후 행동에 대한 실제·인지된 지지에 대한 전 세계 대표 증거’ 논문에서 진행된 설문을 보면 응답자 69%는 매달 소득의 1%를 기부하겠다고 답했다. 연구 갈무리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는 지난 9일(현지 시간) ‘기후 행동에 대한 실제·인지된 지지에 대한 전 세계 대표 증거’ 논문에서 진행된 설문을 보면 응답자 69%는 매달 소득의 1%를 기부하겠다고 답했다. 연구 갈무리

응답자의 69%는 매달 가계 소득의 1%를 기꺼이 기부하겠다고 답했다. 6% 정도는 금액이 더 줄어든다면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26%는 조금도 기부할 수 없다고 답했다.

소득 1%를 기부하겠다는 응답자가 50%를 넘는 국가는 125개국 중 114개국에 달했다. 3분의 2 이상이 소득 1%를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국가도 81개국이다. 조사 대상 125개국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6%, 세계 국내 총생산(GDP)의 96%, 인구의 92%를 차지한다.

1인당 GDP가 낮은 국가일수록 소득 1%를 기부하겠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다. 소득 구간을 5개로 나눴을 때 1인당 GDP 최상위 그룹에서는 평균 62%가, 최하위 그룹에서는 78%가 1%를 기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 시민들은 70.89%가 월급 1%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낼 수 있다고 답했고, 자국민 100명 중 약 35명만이 기꺼이 기후위기를 위해 돈을 낼 것이라 예상했다. 국가·시민들이 기후위기 대응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응답은 90%를 넘겼다.

연구진은 “1인당 GDP는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 즉 회복력을 반영한다”라며 “회복력이 강한 국가에서는 개인 소득의 1%를 기후 행동에 기부하려는 의지가 가장 낮다”라고 짚었다. 이어 1인당 국내총생산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거의 비례한다는 점을 짚으며 “필요한 생활방식 변화가 너무 급격하다고 인식하면 개인이 기부할 의향이 덜하다”라고도 해석했다.

연평균 기온이 높을수록 기부 의사를 가진 시민 비율도 올라갔다. 5개 구간으로 나눠 가장 추운 곳에서는 64%, 가장 더운 곳에서는 77%가 ‘소득 1% 기부 의사’가 있었다. 연구진은 “연평균 기온이 높은 국가는 이미 온난화로 인해 더 큰 피해를 경험했고, 미래 위협도 주민들에게 더 두드러진다”라고 말했다.

다만, 타인에게 ‘기부를 기대’하는 비율은 낮았다. ‘100명 중 몇 명이 1%를 낼 의향이 있을 것 같은지’ 물었을 때 나온 대답의 평균은 43%에 불과했다. 실제 기부 의사를 밝힌 사람의 비율보다 23% 포인트 적었다. 응답자의 81%가 자국 시민의 ‘기부 의지’를 과소평가했다.

연구진은 사람들의 기후변화 실천 의지에 ‘체계적 오해’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연구에서 드러난) 기후변화에 맞서 행동하려는 광범위한 의지는 타인의 행동 의지에 대해 널리 퍼져 있는 세계적 ‘비관주의’와 대조된다”라고 짚었다.

연구진은 “‘다른 사람은 기후 행동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은 개인이 기후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단념시키고, 부정적 믿음을 확증할 수 있다”라며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소수의 우려를 반영하기보다는 세계 다수 사람이 기꺼이 기후 변화에 맞서 행동할 의향이 있으며, 국가가 행동하길 기대한다는 사실을 전달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논문이 사용한 데이터와 간단한 시각화는 아래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gccs.iza.org/

한국에도 재산의 일부를 기부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바로 60세 이상 노인들이 모인 기후단체 ‘60+기후행동’의 활동입니다. ‘60+기후행동’의 구상이 궁금하다면, 아래 기사를 읽어보세요.


Today`s HOT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전 날 열린 승리 집회 1월이 가장 더운 파라과이, 개울에서 더위 식히는 사람들 주현절을 맞이한 리투아니아의 풍경 애들레이드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과 우승한 다니엘 헨겔드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 겨울 산불 프랑스의 해안선 후퇴를 막는 산림청과 어린이들의 노력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기념과 희생자 추모식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상하이 EH216-S 헬리콥터
이란-타지키스탄 공화국 대통령의 만남 카불에서 열린 이스라엘-하마스 휴정 기념회 100주년 파트너십 맺은 영국-우크라이나의 회담 고베 대지진 30주년 된 일본, 희생자들을 기억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