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 “새 가지 위해 양보” 공천 앞두고 인적쇄신 의지 거듭
의원·예비후보들 “비주류 계파 희생만, 누가 수긍하나” 불만
임종석·추미애 대선 패배 책임 선택적 적용에 형평성 논란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떡잎이 져야 새순이 자란다”고 말했다. ‘올드보이’·중진 의원 용퇴를 촉구하며 인적 쇄신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시작부터 반발에 직면했다. 조정식 사무총장 등 지도부는 왜 희생하지 않느냐는 목소리가 당내에서 나왔다. ‘윤석열 정부 탄생 책임론’에 친이재명(친명)계냐 아니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특히 대선 패배 책임은 후보였던 이 대표가 가장 크게 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 가지가 또 다른 새 가지를 위해 양보해야 한다. 장강의 물은 뒷 물결이 앞 물결을 밀어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뼈를 깎는 심정으로 우리 안의 과거를 극복해가겠다”며 “단결과 통합을 통해 민주당의 역량을 하나로 묶겠다”고도 말했다. 이 대표는 전날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새 술은 새 부대에. 우리는 미래로 가야 한다”고 적은 바 있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번 총선에서 다음 세대를 위해 자리를 비우는 것이 구세대 역할이라는 게 대표님의 의중”이라며 “친명부터 그 역할에 나서달라고 주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특정인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 정치인도 새 인물, 새 정책이 필요하다”며 “오히려 친명이 더 많이 (공천 과정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당내 의원과 예비후보들 사이에선 불만이 감지된다. 당 지도부는 왜 희생하지 않느냐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한 민주당 의원은 통화에서 “조정식(사무총장)·김윤덕(조직사무부총장)·김병기(수석사무부총장) 세 명을 (사실상) 단수 공천했다”며 “지도부가 희생을 안 하는데 남들한테 무슨 할 말이 있느냐”고 말했다.
조 사무총장과 김병기 부총장은 모두 후보자 검증 단계에서 상대 후보들이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김병기 부총장은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 위원장도 맡은 바 있다. 김윤덕 부총장(전주갑)은 공천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같은 지역구에 도전한 방수형 예비후보와 여론조사 격차가 큰 편이다.
대선 패배 책임론이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다는 형평성 논란도 나오고 있다. 임혁백 공천관리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탄생 책임론을 언급하며 사실상 친문재인계 용퇴를 압박하고 있다.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그 대상으로 거론된다. 하지만 친명계에서는 같은 문재인 정부 출신이고 윤석열 정권 탄생에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선 우호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박성준 대변인은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윤석열 정권 심판 최전선에서 싸웠던 분, 추미애 고려할 수 있는 거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추 전 장관의 서울 중성동갑 전략공천이 거론되고 있다.
이를 두고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추미애 (전) 장관이나 이런 분들은 올드보이 아니냐”며 “일관적인 기준을 갖고 해도 이러쿵저러쿵하는 건데 그런 것들이 이제 흔들리게 되면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대선 패배 책임론에서 가장 자유로울 수 없는 사람이란 지적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대선 패배 책임론을 얘기할 거라면 경기에 직접 선수로 뛴 이재명 대표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결국 자기 선거에서 스스로 진 것 아니냐”고 말했다. 최병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은 전날 SNS에 “주류 계파의 자기희생 없이 비주류 계파의 희생과 헌신을 요구한다면, 그 어느 누가 수긍할 수 있겠느냐”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