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러, 위성 파괴하는 핵 전자기파 무기 개발 중”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러, 위성 파괴하는 핵 전자기파 무기 개발 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타스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타스연합뉴스

러시아가 ‘우주 핵무기 개발’을 추진중이라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해당 무기가 인공위성을 파괴하는 핵 전자기파(EMP) 무기라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은 중국과 인도에 러시아를 설득해 줄 것을 요구하며 본격적으로 견제에 나섰다.

CNN은 러시아가 우주상에서 인공위성을 파괴할 수 있는 핵 전자기파(EMP) 무기를 개발중이라고 16일(현지시간) 세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무기는 핵 폭발을 일으켜 엄청난 에너지파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전 세계가 휴대전화 통화와 인터넷 검색 등을 위해 필요로 하는 상업용 위성과 정부 위성 대부분을 마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당국자들은 이 무기가 사용될 경우 핵무기 역사상 가장 위험한 루비콘 강을 건너게 될 것이며, 예측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일상생활에 극심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NN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의 새로운 핵무기가 상업용 위성보다 높은 궤도에 있는 위성항법시스템(GPS)과 핵 지휘·통제 위성까지 공격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같은 궤도 내의 러시아 위성에도 똑같은 피해를 주기 때문에 러시아에는 ‘최후의 무기’가 될 것이라고 미 당국자들은 평가했다.

미국 국방부와 정보당국은 수년간 EMP를 포함해 위성 공격에 쓰이는 무기를 개발하려는 러시아의 움직임을 추적해왔다. 그러던 중 최근 몇 달 사이 러시아의 핵 EMP 개발이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정보보고가 이어졌다.

마이크 터너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 로이터연합뉴스

마이크 터너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 로이터연합뉴스

마이크 터너 하원 정보위원장이 지난 14일 “심각한 국가 안보 위협”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말해 파장이 커졌다. 미국 언론들은 익명 관계자들을 통해 러시아가 위성을 파괴하는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다음날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위협의 구체적인 성격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이 제한적이지만 러시아가 개발 중인 대(對)위성 역량과 관련됐다고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 정부는 이같은 의혹이 사실이라면서도 과도한 우려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16일 “현재 러시아가 하고 있는 일은 미국뿐 아니라 어떤 세계 시민에게도 핵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면서 “러시아가 우주에서 어떤 일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는 증거도 없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 당국자들도 러시아가 실제 이를 활용할 가능성은 적다고 평가한다고 전했다. 대신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등 지역에서 국제사회의 압박을 받을 경우 세계 경제를 파괴할 수 있다고 협박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만나 악수하는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AP연합뉴스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만나 악수하는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AP연합뉴스

미국은 러시아의 ‘우주 핵무기’를 저지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16~17일 독일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중국과 인도의 외교 수장을 만나 러시아의 우주 핵무기 배치를 논의했다고 NYT는 전했다.

블링컨 장관은 우주에서 핵폭발이 일어나면 미국 위성뿐 아니라 중국과 인도의 위성도 파괴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푸틴 대통령을 저지하려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리 인도 총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보다 러시아와 관계가 우호적인 인도와 중국이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17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이 독일 뮌헨안보회의 패널 토론에서 수브라마니암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17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이 독일 뮌헨안보회의 패널 토론에서 수브라마니암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도 “바이든 대통령이 일련의 (외교적) 초기 조치를 지시했다”며 “여기에는 러시아, 미 동맹국, 이해관계가 걸려 있는 다른 국가와의 직접적인 외교적 접촉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러시아의 우주 핵무기 배치가 1967년 조약 위반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조약은 우주에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 배치를 금지하며 우주를 평화적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NYT는 “미국 정부는 단순히 조약 위반을 우려하는 것이 아니다. 이 조약이 아직까지 유효한 마지막 무기 통제 조약이라는 점에서 우려하는 것”이라며 “바이든 정부는 러시아가 이를 위반할 경우 북한과 다른 국가들도 뒤따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