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피의자’ 유병호 감사위원 임명, 정권보위 감사 계속하란 뜻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피의자’ 유병호 감사위원 임명, 정권보위 감사 계속하란 뜻

지난 16일 감사원 감사위원에 임명된 유병호 전 사무총장이 지난해 8월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있다. 조태형 기자

지난 16일 감사원 감사위원에 임명된 유병호 전 사무총장이 지난해 8월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있다. 조태형 기자

윤석열 정부 ‘정치감사’ 논란의 핵심 인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를 받고 있는 유병호 전 감사원 사무총장이 신임 감사위원으로 임명됐다. 감사를 지휘하는 사무총장에서 감사원 최고의결기구인 감사위원회 일원으로 직행한 것이다. 후임 사무총장에는 ‘유병호 사단’으로 꼽히는 최달영 전 제1사무차장이 임명됐다.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 표적감사 의혹으로 수사를 받는 ‘피의자’인 그를 윤석열 대통령이 다시 중용한 것은 감사원을 ‘정권보위 감사’에 계속 동원하겠다는 의도가 명백하다.

감사원은 지난 16일 최재해 감사원장이 유 신임 감사위원과 최 사무총장 임명을 제청해 윤 대통령 재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유 감사위원은 17일 임기를 마친 임찬우 감사위원 후임이다. 임기 4년으로 남은 윤석열 정부 내내 감사위원직을 수행하게 된다. 최 사무총장은 지난해 6월 사무처 2인자인 제1사무차장에 임명돼 유병호 사무총장 체제 감사원 실무를 총괄했다. 지난해 11월엔 유 감사위원 측근으로 꼽히는 김영신 전 공직감찰본부장이 감사위원에 임명됐다. ‘유병호 사단’이 감사위와 사무처를 장악한 것이다.

유 감사위원은 사무총장 재직 1년9개월 내내 전 정권 표적감사 등 숱한 정치감사 시비를 불러온 당사자이다. “감사원은 대통령 국정운영 지원기관”이라는 최 감사원장의 발언대로 감사원 독립성을 스스로 훼손하면서 정권보위 돌격대 역할을 해온 장본인이다. 최 감사원장 등과 함께 전현희 전 권익위원장 표적감사에 관여한 직권남용 혐의로 공수처 수사를 받고 있는 피의자다.

감사위원으로서 제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그의 임명은 부적절하다. 감사원법상 제척 사유에 따르면 ‘감사위원이 감사위원으로 임명되기 전에 조사 또는 검사에 관여한 사항’(15조 1항)에 대해선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사무총장에서 감사위원으로 직행하는 사례가 드문 이유다. 또 형사재판 중인 경우 결과가 확정될 때까지 권한 행사가 정지된다(2항).

온갖 논란에도 유 감사위원 등을 요직에 앉힌 것은 향후에도 정권보위용 ‘유병호 감사원’을 운용하겠다는 의도 외엔 이해하기 어렵다. 정권보위 감사에 대한 ‘보은’도 한 부분일 것이다. 감사원법은 ‘감사원은 대통령에 소속하되, 직무에 관하여는 독립의 지위를 가진다’(2조 1항)고 정치적 독립성·중립성을 핵심 존재근거로 규정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유 감사위원 임명을 원점으로 돌려야 한다. 그것이 헌법기관 감사원을 제대로 서게 하는 출발점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