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밀 개발업체 3억 지원···자급률 끌어올릴 수 있을까

안광호 기자
전남 구례군의 한 밀밭. 경향신문 자료사진

전남 구례군의 한 밀밭. 경향신문 자료사진

정부가 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국산 밀을 활용해 제품을 개발하는 업체에 최대 3억원을 지원한다. 논콩 등과 함께 밀을 이모작으로 재배하는 농가에 지급하는 전략작물직불 단가도 100만원 인상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국산 밀 산업 육성 시행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시행계획은 2020년 말 발표한 ‘1차(2021~2025) 밀 산업육성 기본계획’에 근거한 것으로, 정부는 2020년 0.8% 수준인 밀 식량자급률을 2025년까지 5.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이번 시행계획은 밀의 생산과 소비를 끌어올리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올해 국산 밀을 활용해 제품을 개발하는 업체에는 개발과 생산비 등 명목으로 최대 3억원을 지원한다. 국산 밀 가공업체에는 t당 20만원의 제분비용을 지원한다. 제분비용 지원 물량은 지난해 5000t에서 올해 6000t으로 확대했다. 국산 밀 사용을 확대한 식품업체에도 융자자금 금리를 1% 추가 인하한다.

지난해 73곳인 국산 밀 전문생산단지는 올해 100곳으로 늘리고, 전문생산단지에는 시설과 장비를 지원한다. 밀 이모작 전략작물직불 단가는 지난해 ㏊(헥타르·1만㎡)당 250만원에서 올해 350만원으로 인상한다. 밀 농작물재해보험 대상 지역도 기존 5개 시·도에서 전국으로 확대하는 등 국산 밀 재배 농가가 안정적 소득을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국산 밀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올해 공공비축 물량도 지난해보다 6000t 늘어난 2만5000t까지 늘릴 계획이다. 시행계획 추진을 위한 올해 예산은 500억원으로, 지난해 밀 산업 육성 예산 403억원에 비해 24% 증액됐다.

정부가 제시한 ‘2025년 밀 자급률 5.0%’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목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밀 자급률은 2.0%(잠정)에 그친다. 문제는 국산 밀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국산 밀이 수입 밀에 비해 가격이 2~3배 비싸기 때문이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니 생산과 소비가 정체돼 있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시행계획은 국산 밀의 생산과 소비 확대를 위한 지원 대책에 초점을 맞췄다”며 “이번에 직불단가를 상향한 이유도 정부가 매입할 때 농가의 소득을 보장해주면서 동시에 매입 단가를 낮춰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는 조치”라고 말했다.


Today`s HOT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