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늙으면 왜, 스마트폰이 더욱 소중해질까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늙으면 왜, 스마트폰이 더욱 소중해질까요?

입력 2024.03.03 06:00

  • 김진세 정신과 전문의 heart2heart.kr

>> 소통하고 정보 얻으며 우울증·치매 예방…적당히 사용하면 ‘약’

늙으면 왜, 스마트폰이 더욱 소중해질까요?

“밤늦도록 동영상 보느라 잠도 안 주무세요. 스마트폰 중독 맞죠?”

불면증에 시달리는 할아버지를 모시고 온 며느리는 고등학생 아이도 종일 스마트폰만 잡고 있는데 아버님마저 그러신다며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자신의 휴대전화가 연신 ‘까똑와숑’을 부르짖고 있어 정신이 하나도 없는 와중에도 말이다.

젊은 사람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큰 사회적 이슈다. 쇼트폼에 익숙한 아이들은 자극적이지 않은 것에는 도통 집중을 못한다. 요즘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후군)의 원인으로 스마트폰을 지적하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서로 스마트폰을 보느라고 대화가 없어진 연인과 가족들을 보자면, 인지나 정서적인 측면에서 스마트폰은 위험한 물건임이 틀림없다.

그런데 노인들에게는 아주 다른 영향을 미친다. 아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의 보고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고, 소통하고, 미디어를 즐기는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우울증과 치매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밤잠을 못 잘 정도로 집착하지 않는다면, 스마트기기가 노인들에게는 소중하고 특별한 의료기구인 셈이다. 이제는 보일러 말고 신상 스마트폰 하나 장만해드려야겠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