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정치 희화화한 김영주 여당행, “노동권 확대” 깃발 내렸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정치 희화화한 김영주 여당행, “노동권 확대” 깃발 내렸나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영주 의원이 4일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민주당 몫 국회부의장직에서도 물러났다. 지난달 19일 총선 경선에서 감점 대상인 의정활동 하위 20%에 포함되자 “모멸감을 견딜 수 없다”며 민주당을 떠난 지 2주 만이다. 김 의원은 입당 소감에서 “생활 정치와 주변 발전을 위해 제 역할이 있다면 마다하지 않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을 현 지역구인 영등포갑에 공천할 거라고 한다.

김 의원은 한국노총 전국금융노조 상임부위원장으로 1990년대 노조 시위를 주도했다. 1999년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노동계 인사’로 영입돼 정계에 진출했다. 25년간 민주당 소속으로 4선을 하면서 19대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문재인 정부 첫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냈다. 21대 국회에선 국회부의장이 됐다. 그런 중진 정치인이 공천심사 결과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도 아닌, 국민의힘으로 당적을 갈아탄 것은 최소한의 정치적 금도를 벗어난 것이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을 상식과 합리성을 갖춘 정치인이라고 추어올리고, 중도로의 외연 확대를 강조했다. 실제론 상대 당의 국회부의장을 데려다 민주당 비판에 활용하려는 얄팍한 정치적 속셈이 앞선 것 아닌가. 김 의원과 국민의힘 모두 정치를 우습게 만들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정치적 노선은 다르고, 주요 정책에선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한다. 김 의원이 지금껏 정치적 신념으로 견지한 ‘노동권 확대’가 대표적이다. 그는 노동부 장관 시절 국민의힘이 반대한 주 52시간 근무제와 최저임금 인상을 주도했고, 윤석열 정부의 중대재해처벌법 완화 시도를 “위험한 발상”이라며 비판했다. 그랬던 김 의원은 이날 여당의 ‘중대재해처벌법 유예’ 당론에 대해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된 뒤에 얘기하자”며 답변을 회피했다. 강령·정책이 다른 당으로 옮기려면 정치적 소신부터 분명히 하는 게 유권자에 대한 예의 아닌가. 김 의원이 총선에서 야당 후보로 ‘윤석열 정권 심판’을 외치려다 180도 바꿔 ‘윤석열 정권 지원’을 얘기해야 하는 처지도 비루하기 짝이 없다.

김 의원은 이날 “정치가 개인의 사리사욕을 위한 도구로 쓰여선 안 된다”고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난했다. 그 사리사욕이란 말은 자신의 모습도 되돌아보기 바란다. 김 의원 역시 국회의원 한 번 더할 욕심에 당적을 바꾼 것으로 보일 뿐이다. 이런 정치인을 선거 때면 나타나는 ‘철새’라고 부른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입당한 김영주 의원에게 당 점퍼를 입혀주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입당한 김영주 의원에게 당 점퍼를 입혀주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