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내일 총선이라면…국힘 33%, 민주 26%, 윤 대통령 지지율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내일 총선이라면…국힘 33%, 민주 26%, 윤 대통령 지지율은?

‘민주당 뽑겠다’ 20대·충청 등서 큰 폭 하락

‘공천 잘한다’ 국힘 34%, 민주당 23% 평가

여의도의 한 고층빌딩에서 바라본 국회의사당. 정지윤 선임기자

여의도의 한 고층빌딩에서 바라본 국회의사당. 정지윤 선임기자

제22대 총선을 한 달여 앞두고 ‘내일이 총선이라면 어느 당에 투표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격차가 오차 범위 밖으로 확대됐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6일 나왔다.

연합뉴스·연합뉴스TV가 여론조사 업체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이같이 물은 결과 ‘내일이 총선이라면 국민의힘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이 33%를 기록했다. ‘민주당 후보를 뽑겠다’는 답변은 26%로 7%포인트 적었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를 넘어서는 격차다.

지난 달(2월 3~4일)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국민의힘은 변동이 없었고, 민주당에 투표하겠다는 답변은 9%포인트 줄었다.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답변 비율은 20대(34%→13%), 대전·세종·충청(49%→20%), 민주당 지지층(83%→73%) 등에서 하락폭이 컸다.

연령별로는 국민의힘 후보를 선택하겠다고 한 답변이 60대(국민의힘 51%·민주당 23%)와 70대 이상(국민의힘 61%·민주당 15%)에서 많았다. 민주당 후보를 뽑겠다고 답한 사람은 30대(26%), 40대(46%), 50대(30%)에서 많았다. 18∼29세(국민의힘 15%·민주당 13%)는 오차 범위 내 접전이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국민의힘 51%·민주당 11%), 부산·울산·경남(국민의힘 46%·민주당 19%), 대전·충청·세종(국민의힘 39%·민주당 20%), 서울(국민의힘 31%·민주당 24%)에서 국민의힘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광주·전라(민주당 44%·국민의힘 8%), 강원·제주(민주당 40%·국민의힘 20%)에서는 민주당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인천·경기(민주당 31%·국민의힘 30%) 지역은 비슷했다.

지지 정당과 관계 없이 ‘공천은 어느 당이 더 잘하고 있나’라는 질문에는 국민의힘을 뽑은 답변이 34%, 민주당은 23%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국민의힘(39%)이 더불어민주당(32%)을 오차 범위 밖에서 앞섰다. 직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37%)과 민주당(36%)이 오차범위 내 접전이었다. 그밖의 정당 지지도는 개혁신당 4%, 녹색정의당 2%, 새로운미래 2% 순이었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17%였다.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도는 한 달 전보다 5%포인트 오른 39%를 기록했다. 부정 평가는 같은 기간 3%포인트 떨어져 56%로 나타났다. 모름 또는 무응답 비율은 5%였다.

윤 대통령 지지도는 60대(1%포인트↓)와 대구·경북(2%포인트↓)을 제외한 전 연령층과 지역에서 올랐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에서 긍정 평가가 67%로 가장 높았고, 부정 평가는 40대(76%)에서 가장 높았다. 긍정 평가 상승폭은 50대에서 10%포인트로 가장 컸다.

지역별로는 긍정 평가가 부산·울산·경남(43%→54%)에서 11%포인트 올랐다. 서울(36%→38%), 인천·경기(29%→34%), 대전·세종·충청(31%→39%), 광주·전라(11%→13%), 강원·제주(28%→36%)에서도 상승했다. 대구·경북은 59%에서 57%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부정 평가는 광주·전라(81%→85%)와 대구·경북(33%→37%)에서 올랐다. 서울(57%→56%), 인천·경기(64%→59%), 대전·세종·충청(63%→55%), 부산·울산·경남(50%→43%), 강원·제주(62%→60%)에서는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전화면접 100%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1.7%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