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친명 논란’ 차단 조치라는데…청년공천 룰 변경 “친명 유리” 시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친명 논란’ 차단 조치라는데…청년공천 룰 변경 “친명 유리” 시끌

민주당, 이 대표 지지층 많은 권리당원에 70% 결정권 논란

더불어민주당의 청년·여성 공천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다. 여성전략특구에 이어 유일한 청년전략특구인 서울 서대문갑 공천 방식을 두고 불공정 논란이 제기됐다.

6일 민주당에 따르면 당 전략공천위원회는 청년전략특구로 지정한 서대문갑 후보자 5명을 전날 발표했다. 권지웅 전 비상대책위원, 김규현 전 서울북부지검 검사, 김동아 변호사, 성치훈 전 청와대 행정관, 전수민 변호사가 선정됐다. 7일 대국민 공개 오디션을 통해 3명으로 추린 후 9~10일 3인 경선을 거쳐 후보를 확정한다. 경선은 당초 당 중앙위원 투표 100% 방식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최근 전국 권리당원 투표 70%·서대문갑 유권자 투표 30% 방식으로 룰을 바꿨다.

애초에 특정 지역구 경선 방식을 당 중앙위원 투표 100%로 가닥을 잡은 것이나 변경된 룰에서 전국 권리당원 투표 70%를 반영하겠다는 것 모두 합리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친명으로 분류되는 김 변호사를 공천하기 위해 무리수를 두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통상 지역구 경선의 경우 해당 지역 당원이나 일반 유권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다. 전략공관위는 전국 권리당원 투표 70%에 서대문갑 유권자 30% 방식으로 룰을 바꿨다. 권리당원이 결정권을 쥐는 쪽으로 룰이 변경되면서 김 변호사가 더 유리해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중앙위의 경우 비이재명계를 포함한 다양한 계파가 섞여 있다. 반면 경선에 적극 참여하는 권리당원은 다수가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이다. 특히 서대문갑 지역에 국한한 권리당원 투표가 아니라 전국 단위 당원 투표 방식을 택한 것도 친명 조직을 동원하기 위한 의도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김 변호사는 이 대표 정치테러대책위원회에서 활동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