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스친 이들의 무심한 온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스친 이들의 무심한 온기

열한 살 여름방학에 소피는 곧 서른한 살 될 아빠와 튀르키예로 여행을 떠난다. 별거 중인 아빠와 일 년 만에 함께 보낼 시간인 만큼 아이는 신이 났다. 캠코더로 장난스레 아빠를 인터뷰하고 관광버스 유리창에 반사된 얼굴도 찍는다. 시간이 흘러 서른한 번째 생일을 맞은 소피는 낡은 캠코더에 녹화된 이십 년 전 영상을 재생한다. 어린 자신이 미처 감지하지 못했던 그 시절 아버지의 깊은 우울과 불안을 거기서 읽어낸다. 삶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아이 곁을 뜰 것을 예감하며 그전에 부모로서 알려줄 것을 전하려 서둘렀던 젊은 남자의 강박을 뒤늦게 헤아린다. 영화 <애프터썬>은 이렇듯 끝내 온전히 복원하진 못할 과거 한 시점의 기억 조각을 담는다.

이 영화를 두고 누군가 평했다. 저마다 사적 경험이 포개지는 면적만큼의 감동을 가져갈 거라고. 난 ‘그 시절 아빠의 내면’을 헤아리고자 제한된 기록과 기억을 꿰맞추는 딸의 간절함에도, 아이에게만큼은 좋은 기억을 만들어주려던 부모의 안간힘에도 이입할 수 없었다. 원가족과 절연했고 사랑하는 이와 혼인해 꾸린 가정 또한 갖지 못했으니까. 대신 다른 경험이 겹쳐졌다. 멀리서 찾아온 딸과 일 년 만에 시간 보내는 분을 일인칭 주인공 아닌 관찰자 시점으로 지켜봤던, 수년 전 여름 몇날들의 기억.

함께하는 내내 딸의 감정을 살피며 안절부절못하시던 모습에 당시 ‘딸바보’라며 몰래 웃었지만, 영화 보며 생각했다. 바랜 사진으로조차 본 적 없는, 딸이 열한 살일 무렵의 젊었을 그는 어쩌면 캠코더 속 소피 아빠와 닮지 않았을지. 자기 삶이 전쟁일지라도 떨어져 지내 온 아이한텐 티 없이 즐거운 방학을 선물하고 싶어 하던. 과거 한 시점에 그 또한 등을 새우처럼 구부린 채 어둠 속에 홀로 울었을까. 난 이십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 그 젊은 사람의 등을 토닥이고 싶었고, 다음 순간 상상으로라도 그래선 안 됨을 자각했다. 상대에게 특별한 의미가 아닐 관찰자는 이해든 연민이든 품을 자격이 없었으니까. 사적 경험이 포개진 면적은 내겐 그저 쓸쓸함의 크기였다. 그렇게 극장을 나와 터덜터덜 걷던 중 아까 본 사소한 장면이 부지불식간에 떠올랐다. 뜻밖의 장면이었다.

소피와 아빠는 유원지 당구장에서 만난 두 청년과 복식 게임을 한다. 한 명이 “소피 쟤 당구 존나 잘 치네” 감탄하자 다른 하나가 “야, 애 앞에서 그런 단어 쓰지 마” 제지한 후 서둘러 사과한다. 사춘기 초입의 소녀에게 그 둘은 수줍은 호기심의 대상이었겠으나 그들에게 소피는 보호할 존재였다. 고작 예닐곱 살 위였을 그들은 어른 노릇을 해주려 한다. 키스하는 연인을 지나칠 때 아직 넌 저걸 보면 안 된다며 아이의 눈을 가리고, 아빠와 다툰 아이가 밤늦도록 야외식당에 웅크리고 있자 다가가 “네 아빠 찾아줄까?” 근심스레 묻는다. 그 순간 화면 안에 감돌던, 서툴고 조심스러운, 미묘한 안온함.

어릴 적 타국에 살던 무렵 그곳 한인성당엔 예닐곱 살 위의 교포 2세 오빠들이 몇 있었다. 언젠가 저희끼리 거친 농담을 주고받다 저편에 선 나를 발견한 한 명이 “애 앞에서 그런 단어 쓰면 어떻게 해”라 친구들을 나무랐다. 다가와 미안하다고, 방금 들은 건 잊어달라 했다. 대여 서고에서 내가 고른 책을 보더니 이건 네 나이에 읽을 게 아니라며 다른 책 골라준 적도 있었다. 알 것 다 안다고 믿던 열두살 아이는 그들의 어설픈 어른 노릇이 내심 우스우면서도 싫지 않았다. 미묘한 안온함을 그때 느꼈다.

오래 잊고 지낸 언어화하기 어려운 감정이 형태와 견고함을 갖춘 채 살아났다. 관계 조건이나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 살결의 살결 같은 나만의 기억. 생의 한 시절 스친 이들이 무심히 만들어준 저 기억 조각 덕에 내 사적 경험은 예상치 못한 지점에서 비로소 영화와 포개졌고, 감상 중 일부나마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이소영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이소영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