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병원 노동자들, 진료 정상화 위한 사회적 대화 촉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병원 노동자들, 진료 정상화 위한 사회적 대화 촉구

서울지역 전공의 수련병원 노동조합 대표자들이 1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앞에서 진료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대화를 촉구하는 ‘대형 의료기관 노조 대표자회의, 진료거부사태 장기화에 따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가운데 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지역 전공의 수련병원 노동조합 대표자들이 1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앞에서 진료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대화를 촉구하는 ‘대형 의료기관 노조 대표자회의, 진료거부사태 장기화에 따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가운데 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이 7주차에 들어섰다. 서울지역 전공의 수련병원 노동조합 대표자들이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 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공의들의 복귀와 진료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대화를 촉구했다.

양대노총 소속 서울 19개 수련병원 노조 대표자들은 1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사 집단 행동 장기화로 인해 ‘노동자 쥐어짜기’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고 했다. 노조 측은 “외래환자가 10~20% 이상 줄고 있고, 병상 가동률도 30~50% 이상 떨어지”며 신규 입사자 무기한 입사 연기, 비정규직 노동자 계약 해지, 무급휴가 강요, 법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PA 간호사 등 무작위 업무 범위 확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장 화보] 병원 노동자들, 진료 정상화 위한 사회적 대화 촉구
[현장 화보] 병원 노동자들, 진료 정상화 위한 사회적 대화 촉구
[현장 화보] 병원 노동자들, 진료 정상화 위한 사회적 대화 촉구

송은옥 보건의료노조 고려대의료원지부장은 “남아있는 교수들을 옆에서 최선을 다해 도왔지만 우리에게 돌아온 건 병동폐쇄 및 통폐합, 무급휴가 시행과 기간 연장, 더 나아가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이었다”며 “4월25일 교수들의 사직서가 수리되면 우리도 같이 사직하면 되는 것인가”라고 말했다.

노조는 전공의 복귀와 교수 집단사직 철회와 병원장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또 정부는 의사와 정부·여당만 참여하는 것이 아닌 환자와 병원 노동자, 시민대표까지 참여하는 ‘국민참여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기자회견 장소 옆으로 한 환자와 보호자가 지나가고 있다

기자회견 장소 옆으로 한 환자와 보호자가 지나가고 있다

한 환자와 보호자가 기자회견을 지켜보고 있다.

한 환자와 보호자가 기자회견을 지켜보고 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