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최악에서 반등한 자산운용사...여전히 10곳 중 4곳은 적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최악에서 반등한 자산운용사...여전히 10곳 중 4곳은 적자

금감원

금감원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영업이익이 2022년보다 상승했다. 당기순이익은 감소했으나 2022년 지분 청산 등 일시적 영향을 제외하면 사실상 반등해 증시 불황의 여파를 어느 정도 씻어낸 모양새다. 다만 여전히 자산운용사 10곳 중 4곳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일 발표한 2023년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잠정) 자료를 보면,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은 전년(2조8513억원)대비 절반(-43.8%)가량 감소한 1조6023억원이었다. 하지만 2022년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 카카오뱅크 지분을 처분하며 얻은 이익(약 2조3000억원)을 제외하고 비교하면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오히려 1조500억원 가량 크게 증가한 것이다.

증권투자손익이 대폭 반등하며 영업이익(5조433억원)은 1년 전보다 5.1%(2434억원) 커졌고 영업비용은 같은 기간 2.3%(827억원) 축소돼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2022년 긴축 등으로 인한 증시 부진으로 증권투자손익은 130억원까지 쪼그라들었지만 지난해엔 1년전보다 3475.4% 증가한 4648억원을 기록하며 크게 반등했다. 다만 증권투자손익이 6907억원을 기록했던 2021년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외에도 지난해 수수료수익은 전년대비 1267억원 감소한 3조9188억원을 기록했다. 판관비(2조8563억원)는 임직원 수 증가 등으로 이 기간 591억원 증가했다.

회사별로는 전체 자산운용사 468개 사 중 289사가 흑자, 179사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회사 비율(38.2%)은과반(50.3%) 넘게 적자를 기록했던 전년보단 축소됐지만, 2021년 10.9%와 비교하면 27.3%포인트나 높다. 자산운용사 상당수가 여전히 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자기자본이익률(ROE)도 전년(22.1%)보다 대폭 줄은 11.1%에 그쳤다.

지난해 말 전체 운용사의 운용자산은 1482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약 85조원 늘었다. 펀드수탁고는 924조8000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공모펀드(329조2000억원)는 상장지수펀드(ETF) 성장세에 힘입어 최근 10년 중 가장 큰 폭(19.5%)으로 성장했다. 사모펀드의 수탁고는 부동산(+14조원), 특별자산(+10조1000억원)등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40조원 확대됐다.

금감원은 “자산운용사 실적에 증권투자손익의 영향이 큰 점을 감안해 운용사별 재무 및 손익현황을 지속 점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