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세계 50세 이하 암 발병률 79% 늘어…한국 남성 대장암·여성 유방암 급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세계 50세 이하 암 발병률 79% 늘어…한국 남성 대장암·여성 유방암 급증

해외 연구진 30년 추세 조사

국내 젊은층 유병률 ‘경고등’

세계적으로 50세 이하 연령대의 암 발생률이 지난 30년간 79.1%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선 유방암과 대장암의 발병률이 특히 높아지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영국 에딘버러대·중국 저장대 공동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BMJ 종양학’에 게재한 연구를 보면, 세계 204개국에서 14~49세의 암 발생률 추세를 조사한 결과 2019년 암 환자 수는 326만명으로 1990년보다 79.1% 증가했다. 연구진은 이런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2030년까지 50세 이하의 조기 발병 암이 세계적으로 약 30%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국내에서도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암을 진단받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은 유방암, 남성은 대장암에 걸리는 비율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국내 30~40대 유방암 유병률은 2001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한국유방암학회 자료에서도 폐경 전에 발생하는 유방암의 40세 이하 환자 비율이 10.5%를 차지했다. 이는 서구 국가들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국내 35~64세 남성의 대장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74.7명으로 암 종류 중 가장 높았다. 해외와 비교했을 때도 한국의 20~49세 대장암 환자 비율은 인구 10만명당 12.9명으로, 조사 대상 42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유방암과 대장암 발생에는 잦은 음주와 흡연, 고지방·고칼로리 음식 섭취 및 운동 부족, 유전, 과다한 가공식품 섭취, 환경호르몬 등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다. 예방법도 유사하다. 규칙적인 운동과 신선한 채소 섭취는 대표적인 예방법이다. 한쪽으로 치우친 식습관이나 일상생활 속 활동량 부족으로 당뇨병 등 대사증후군 증상을 보인다면 만성 염증이 유발돼 암 발생 위험성까지 높일 수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