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노란 물결 일렁이는 4월···“세월 지나도 잊은 적 없다”

강한들 기자
이정민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 기억문화제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민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 기억문화제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앞둔 13일 수천명 시민이 서울 도심에 모여 안전한 사회를 기원했다.

4·16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세월호참사10주기위원회 등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도로에서 ‘4·16 기억문화제’를 열었다. 주제는 ‘세월이 지나도 우리는 잊은 적 없다’였다. 사회는 변영주 영화감독이 맡았다.

문화제에는 주최 측 추산 5000여명(경찰 추산 300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안전할 권리 보장하고 생명안전기본법 제정하라” “세월호·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 인정하고 사과하라” 등 구호를 외쳤다.

문화제에서는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윤민석 작사·작곡) ‘가만히 있으라’(이승환 작사·작곡) ‘화인’(도종환 작사·백자 작곡) 등 합창도 있었다.

13일 서울시청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 기억문화제에서 참가자들이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서울시청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 기억문화제에서 참가자들이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문화제에는 이태원 참사 유가족도 참석했다. 이정민 10·29 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참사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외면한다면 20년이 지나도 시민들은 계속 고통받을 수밖에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이 총선 결과를 뼛속 깊이 새기고 생명안전 과제를 가장 먼저 검토해 이전의 퇴행에 대해 속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기 4·16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지켜지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 기억하고 행동하며 함께해온 10년은 결코 실패한 시간이 아니다”며 “정작 바뀌어야 할 국가는 바뀌지 않고 책무를 다하지 않는데 국민의 목숨으로 대가를 치르는 현실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태원·오송 참사 유가족은 부스에서 각각 보라색과 연두색 리본을 나눴다.

13일 서울시청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 기억문화제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서울시청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 기억문화제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더 궁금하다면
경향신문은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세월호 참사, 또 다른 참사들 곁에서 살아온 이들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기사들을 읽어주세요.


Today`s HOT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