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세계노동절 대회…서울 곳곳서 “노동권 보장하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세계노동절 대회…서울 곳곳서 “노동권 보장하라”

[현장 화보] 세계노동절 대회…서울 곳곳서 “노동권 보장하라”

134주년 세계 노동절을 맞은 1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 양대노총 조합원들이 모여 정부의 반노동 정책 등을 비판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2024 세계 “절 대회’를 열었다. 주최 측 추산 2만5000여 명이 세종대로 사거리 동화면세점 앞부터 지하철 1호선 시청역 1번 출구까지 약 600m 구간 4개 차로를 가득 메웠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참석자들은 윤 대통령이 노조법 2·3조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것을 비판하며 노조법과 근로기준법 개정을 촉구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민심을 외면한 정권은 민중의 준엄한 심판을 받았지만 윤석열 정권은 반성하지 않았다”며 “우리의 삶을 바꾸기 위해선 누구나 노동조합을 할 수 있도록 손해배상과 가압류로 위협받지 않도록 노조법을 개정해야 하고 일하는 사람 누구나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근로기준법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노동절인 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2024 세계노동절 대회를 열고 있다. 정효진 기자

노동절인 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2024 세계노동절 대회를 열고 있다. 정효진 기자

노동절인 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2024 세계노동절 대회를 열고 있다.  정효진 기자

노동절인 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2024 세계노동절 대회를 열고 있다. 정효진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이날 한국노총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 추산 8000여 명은 최저임금 차등 적용 시도 중단과 노조법 2·3조 재개정을 촉구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가 남은 임기 3년을 채울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민심을 받들어 반노동 정책을 포기하고 국정기조를 대전환하는 것 뿐”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공언한 바 있는 최저임금 차별 적용 시도를 포기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 등 참석자들이 행진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 등 참석자들이 행진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 등 참석자들이 행진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1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열린 2024 세계노동절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 등 참석자들이 행진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민주노총은 본대회를 마치고 중구 서울고용노동청과 용산구 삼각지역 방면으로 행진했다. 이날 경찰은 우발 상황에 대비하기 서울에 101개 전국엔 162개 기동대 등 인력 1만여 명을 배치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