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1억 총 연극의 사회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전문직에 계신 분들과 하는 일본공부모임에서 야마구치(山口)현 호후시(防府市)를 방문한 적이 있다. 조슈번 다이묘(長州藩大名)였던 모리(毛利) 가문의 저택과 정원을 보기 위해서다. 메이지유신 후 전국의 다이묘들은 성을 허물고 도쿄에 모여 살아야 했다. 하지만 정국이 좀 안정되자 메이지 정부는 전 다이묘들에게 고향에 거주하는 걸 허락했다. 모리 가문은 조카마치(城下町)였던 하기(萩)나 경제중심지 야마구치 대신 호후에 30만㎡에 달하는 광대한 부지를 마련해 거처로 삼았다. 가신이었던 메이지 정부의 실력자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가 힘을 써줬다고 한다. 8만4000㎡ 규모의 정원은 가을 단풍이 특히나 절경이다. 저택은 국가에 기증하여 모리씨박물관으로 되어 있다.

넓은 다다미방과 긴 회랑으로 이뤄진 저택을 둘러보다 낡았지만 깔끔한 교복을 입은 여학생 세 명이 부동자세로 서서 다른 학생들을 안내하는 모습을 봤다. “수학여행 왔어요?” “아뇨, 동아리활동 중입니다.” 우리로 치면 근처 학교의 체험학습 같은 것인 듯했다. 몇 마디 더 나누었더니 그중 한 학생이 “그런데 일본어를 왜 이렇게 잘하세요?” 한다. 서른 넘어 익힌 일본어가 그 정도일 리 없지만 외국인 행색을 한 사람이 일본어를 하니 신기했나 보다. 감사하다며 돌아서려는 순간, 일이 벌어졌다. 뒤따라 오던 우리 측 여행 가이드님이 불쑥 “이분 도다이(東大·도쿄대를 줄여 부르는 말) 출신이에요!” 하자, 학생 셋이 눈을 동그랗게 뜨더니 일제히 “에~~~?” 한다. “게다가 서울대 교수님이에욧!” “에~~~~엣!”, 사태 전개를 예감하고 나는 출구 쪽으로 내뺐지만, 가이드님은 그칠 줄 몰랐다. “일본 역사에 관한 책도 몇 권이나 쓰셨어욧!!” “에~~~~~엣!!” 아이유 노래 ‘좋은 날’의 삼단고음처럼 ‘라’ 음으로 시작한 “에~~”는 ‘시’를 거쳐 ‘도’까지 올라갔다. 좁고 기다란 회랑에서 그 소리는 메아리쳤다.

이 학생들의 삼단고음 현장을 우리 일행이 목격했다. 저 학생들이 왜 저러는지를 가이드님에게서 듣더니 깔깔거리며 재밌어 했다. 이 양반들, 밖으로 나와서는 내가 말 한마디 할 때마다 “에~~~!!” 하며 포복절도하는 것이었다. 동작까지 흉내 내며. 즐거웠다.

일본 사회에서는 어떤 경우에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가 대체로 정해져 있다. 사람을 대할 때도 상대방의 저런 말에는 이렇게 응대해야 한다는 암묵적인 매뉴얼 같은 게 존재한다. 사회생활을 잘하려면 매뉴얼대로 연기해야 한다. 아까 그 학생들도 처음에는 진짜 놀라 반응했을 수 있지만, 가이드님이 연이어 TMI(?)를 제공하니 즉각 연기에 돌입한 것이다. 첫 번째 반응보다 두 번째, 세 번째 감탄이 저음이면 상대에게 실례다. 가이드님이 네 번째, 다섯 번째 발언을 하지 않은 것이 그 학생들에게도 내게도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어떤 지인의 말대로 일본은 ‘1억 총 연극의 사회’다. 모두가 자신이 그때그때 처한 ‘야쿠(役)’를 연기한다(배우도 야쿠샤(役者)라고 한다). 저 학생들은 순간 놀라는 역을 맡게 되었으니 놀라워하는 연기를 한 것이다. 더욱이 상대가 외국인이니 일본을 대표해서(?) 혼신을 다해 연기한 것이다. 맡은 연기를 벗어나 혼네(本音·본심)를 드러내는 순간 연극은 삽시간에 무너져 내릴 수 있다. 그러니 조심조심, 한 땀 한 땀 연기해야 한다.

이런 설명을 했더니 일행 중 한의사 분이 “그럼 그 스트레스를 다 어떻게 해요? 일본 사람도 화병(火病)이 있겠네요” 했다. 화병이 나려면 일단 자주 화가 나야 한다. 그러나 야쿠를 연기하는 게 화나는 일은 아니다. 그저 울적과 체념이 쌓일 뿐이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야쿠병(役病)’이라 할 수 있겠다. 몇 마디 말로 일본 사회 전체를 규정하는 것은 경계해야 하나, 이런 관점에서 관찰해 보면 일본과 일본인을 이해하는 데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