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하이브 망신 넘어 K팝 공든 탑 위협…그만해, 이러다 다 죽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하이브 망신 넘어 K팝 공든 탑 위협…그만해, 이러다 다 죽어

  • 박동흠 회계사

국내 최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하이브와 자회사인 어도어의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하이브는 여자 아이돌 뉴진스의 소속사인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가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시도가 있어 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에 어도어는 자사 주식 80%를 하이브가 갖고 있고 민희진 대표 지분은 18%밖에 없어서 경영권 탈취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회사 밖으로 공개되지 않은 주주 간 계약서나 각종 내부 자료들에 대한 감사 결과가 어떤 결론을 가져올지 지금 상황에서는 예상이 쉽지 않다.

그 와중에 민희진 대표가 직접 인터뷰에 나섰는데 공개 석상에서 상대방에 대해 온갖 비속어를 쏟아내며 갈등의 골이 깊었음을 보여주었고, 양측 간 비밀스러운 카카오톡 대화 내용까지 적나라하게 공개하면서 진흙탕 싸움이 돼 버렸다. 처음에는 세간의 가십거리로 많은 사람들이 흥미를 가졌지만 장기화되면서 결국 기업가치 하락, 오너 리스크 등에 초점이 맞춰지는 모양새다. 양사 간 내홍이 일어난 기간 동안 하이브의 시가총액은 1조원 넘게 증발했다.

하이브는 올해 설립 20년 차를 맞았지만 기업의 면모를 제대로 갖춘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17년 재무제표가 처음 외부감사 대상이 되면서 경영 정보가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개됐다. 그 당시만 해도 자회사는 1개밖에 없었고 임직원 수도 83명에 불과했다. 6년이 지난 2023년 자회사와 임직원 수는 각각 64개, 700명 늘었다.

2017년 매출액 924억원, 자산총액 612억원이던 회사는 6년 뒤인 2023년 자회사 포함 매출액 2조1781억원, 자산총액 5조3457억원의 중견기업으로 거듭났다. 2020년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하면서 주주 수도 18만명이 넘는다.

회사가 짧은 기간 동안 급성장하는 와중에 이런 문제가 불거졌는데 대처 방법은 너무 미숙했다. 어떤 기업이든 성과 평가와 보상에 대한 문제 제기는 늘 있는 일이고 모회사와 자회사 간 갈등도 자주 발생한다. 이런 부분들을 잘 조정하고 동기부여를 시켜서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경영진의 역할이다. 그리고 그런 사항은 대개 기업 내부에서 잘 조정하고 정리하지, 이렇게 외부로 공개해 서로 저격하는 일을 벌이지는 않는다.

이번 사태로 회사와 경영진이 큰 망신을 당했지만 산업 전반에 드리우는 그림자를 빨리 걷어내는 게 더욱 중요하다. 전 세계 많은 팬들의 사랑을 먹고 성장하는 엔터 산업은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 또한 매우 크기 때문에 이번 위기를 슬기롭게 넘기지 못하면 그동안 쌓아올린 K팝의 공든 탑이 무너질 수 있다. 하이브의 주요 수입원은 음반, 음원, 영상 콘텐츠 등으로 한정되지만 국내 수많은 기업들이 생산하고 있는 K푸드, K뷰티 제품 등의 매출 증가에 연예인들의 기여도가 너무 커서 금액으로 계산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이브와 자회사의 경영진 간 싸움으로 인해 또 하나 크게 우려되는 것은 바로 소속 연예인들의 정신적 피해이다. 상호 비방으로 인해 자연스레 팬덤까지 극심한 편가르기가 되었으니 멘털이 크게 붕괴되었을 것이다. 싸움을 벌인 어른들이 책임감을 갖고 그들을 잘 치유해줘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사 경영진은 감사자료 공개와 반박으로 더욱 공세를 높이며 서로 끝장을 보겠다는 분위기인데, 이것도 이제 그만했으면 좋겠다.

너무 많이 엎질러진 물이라 다시 담을 수는 없겠지만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선에서 조속히 마무리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그래야 모두 살 수 있을 것이다.

박동흠 회계사

박동흠 회계사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