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 제주도와 손잡고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사업’ 활성화 시동

권재현 기자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 오영훈 제주도지사, 문용석 제주테크노파크 원장(왼쪽부터)이 지난 14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 제공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 오영훈 제주도지사, 문용석 제주테크노파크 원장(왼쪽부터)이 지난 14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 제공

현대글로비스가 제주도와 손잡고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 14일 제주도청에서 제주도, 제주 테크노파크(TP)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이사와 오영훈 제주도지사, 문용석 제주 TP 원장 등이 참석했다.

MOU에 따라 현대글로비스는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재활용과 재사용 사업화에 나선다. 반납 대상 배터리 운송이 대표적이다.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 시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는 소유주는 차량 등록 말소 시 지방자치단체에 차량 배터리를 반납해야 한다. 제주도는 2020년 12월 말 전 등록된 전기차 2만1000대가 배터리 반납 대상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제주도에 배터리 재활용 인프라가 확대되기 전까지 자체 개발한 전용 회수용기에 배터리들을 담아 선박을 통해 육지로 운송할 방침이다.

옮겨진 배터리는 현대글로비스가 경남 김해에 마련한 재활용 거점에서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전처리는 사용 후 배터리에 남은 전력을 방전시키고 해체한 뒤 불순물을 제거해 양극재 분리물인 블랙 파우더까지 만드는 공정이다.

나아가 현대글로비스는 최초로 제주도에 사용 후 배터리 전처리 설비 도입을 계획 중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 후 배터리를 육상으로 운송할 필요 없이 제주도 내에서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이 밖에도 제주 TP의 배터리 물류센터 운영과 제주지역 폐차장 관리 시스템 도입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UBESS)을 제작해 사용 후 배터리 중 재사용이 가능한 물량을 제주도 내 태양광 또는 풍력 발전 장비나 전기차 충전기 등에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서 회수부터 전처리까지 단일화된 시스템을 갖춰 경쟁력을 강화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표 전기차 대중화 지역인 제주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근처 주거 건물까지 번진 쇼핑 센터에서의 화재.. 오랜 시간 산사태가 발생하는 랜초 팔로스 베르데스 반도 계속되는 러시아 공습에 뉴욕에서 집회가 열리다. 올해 초 산불 여파 가시기 전, 또 다시 산불 발생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연이은 가자지구 공습, 보이지 않는 전쟁의 끝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5주 만에 퇴원한 교황, 최소 2달은 안정 취해야..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